- 영문명
- The present condition and change of Multi-flex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양영철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24호, 333~35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ovies are made for people and theatres are the place for people to watch them. Movie theatres and facilities have changed, or evolved, to meet the tastes of the mass. Multi-flex has initially appeared from the reason not with regards to the movie but with regards to the movie industry. New multiplexes are being built in places where people congregate to shop: shopping centers, arcades, and malls. In addition, many older, larger theaters(especially in city core areas) are being converted into multi-screens. In Korea, especially Multi-plex has started by combining the elements such as the abolition of the limitation on the amount of positive prints and Hollywood studios' participation in Korean movie market in 1990's. The movies are an industry and a business. So the introduction and evolution of Multi-flex are a kind of marketing strategy to increase the box-office income. But Movies are also an important social institution, going far beyond providing mere entertainment. the content of film can both reflect and shape society and moviegoing is essentially a group activity. Theaters are not only a shop to sell movies, but a kind of cultural places for mass. Multiplexes have developed in the scale and facilities. Now they have changed the audiences' watching behavior. Moviegoing is an cultural condition in Korea now.
목차
1. 서문
2. 상영관의 변천과정
3. 멀티플렉스의 등장
4. 국내 멀티플렉스 현황
5. 국내 멀티플렉스의 시설변화
6. 마치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멜로드라마에 나타난 남녀/관계 재현의 변화
- 우리 영화의 기원으로서 연쇄극에 관한 시론
- 영화교육 및 교직과정 연구
- 한국 영화에서 작가(주의) 담론의 역할에 대한 연구
- 디지털 영상제작 환경 분석을 통한 영화의질적 기여도에 대하여
- 정보의 바다에서사이버그는 무엇을 꿈꾸는가?
- 포스트 할리우드 시대의 미국 극장 산업의 변화
- 각본의 시각화에 대한 연구
- 촬영감독 콘래드 홀에 대한 연구
- 1920년대 초 조선총독부 활동사진반의 역할에 관한 연구
- 1990년대 한국 영화에 나타난 가족의미의 변화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샤이닝>에 있어서 다양한 시점숏의 의미 분석
- 희생양그리고 민족적 알레고리로서 여성이미지 분석
- 한국영화의 생존력 제고를 위한 연구
- 국내 멀티플렉스의 현황과 시설변화 추이
- 현대 한국영화에서 프로듀서의 중요성과 역할 연구
- 필름과 비디오의 MTF 비교
- Buster Keaton 코미디 원형에 대한 연구
- 보이스오버의 유형과 1960년 전후의 한국영화
- 영화적 시각의 변형에 대한 연구
- 조선무성영화 변사의 기능적 고찰과 미학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