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Woman Image as Scapegoat & National Allegory: Focusing on The Filmmaker Lee Doo-young's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맹수진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24호, 101~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1980's in korea began with the neo-military junta(regime) which came to power through supressing the Kwangju struggle for demonstration. The film industry in 1980's was influenced by the national policy of the neo-military junta. While it did a close inspection on the political issues, it permitted a indecent sexual expression . So many film producing companies in this decade evaded to comment on the socio-political issues & concentrated on showing the actress' naked body to attract the audiences. In a sense it was enevitable to keep on film business under the military regime. It is erotic melo drama and erotic costume drama that was newly born at that time. As we all know, these genres were regarded as a flight from reality and vulgar texts and were not considered as objects of serious studies. But these texts not only have sociological values as reflection on 1980's but also have aesthetic values under the varren film making circumstances. I think the Korean film studies should stop overlooking the significance of these genres and begin serious research and specific analysis of the indivisual text of these genres. The reason why I focus on among many other films, it it because it inspires popular desire of the day in the connotation level. Of course I know that this movie is not free from condemnation that it commercialized women's sexuality. But it is just one aspect of the movie. It still has enough value to be analyzed seriously. This study is based on the concept of Frederic Jameson's national allegory and Rene Girard's Scapegoat.
목차
1. 80년대, 그리고 80년대 영화
2. 왜 〈뽕〉을 분석하는가?
3. 민족적 알레고리로서의 여성, 그 몸의 이미지
4. 카니발: 공적인것 속으로 돌아간 사적인 것
5. 카니발, 그 양면성에 대하여: 폭력은 어떻게 내부의 희생양을 만드는가?
6. ‘들풀’ 이미지로서의 스타, ‘이미숙’의 페르소나
7. 나오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멜로드라마에 나타난 남녀/관계 재현의 변화
- 우리 영화의 기원으로서 연쇄극에 관한 시론
- 영화교육 및 교직과정 연구
- 한국 영화에서 작가(주의) 담론의 역할에 대한 연구
- 디지털 영상제작 환경 분석을 통한 영화의질적 기여도에 대하여
- 정보의 바다에서사이버그는 무엇을 꿈꾸는가?
- 포스트 할리우드 시대의 미국 극장 산업의 변화
- 각본의 시각화에 대한 연구
- 촬영감독 콘래드 홀에 대한 연구
- 1920년대 초 조선총독부 활동사진반의 역할에 관한 연구
- 1990년대 한국 영화에 나타난 가족의미의 변화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샤이닝>에 있어서 다양한 시점숏의 의미 분석
- 희생양그리고 민족적 알레고리로서 여성이미지 분석
- 한국영화의 생존력 제고를 위한 연구
- 국내 멀티플렉스의 현황과 시설변화 추이
- 현대 한국영화에서 프로듀서의 중요성과 역할 연구
- 필름과 비디오의 MTF 비교
- Buster Keaton 코미디 원형에 대한 연구
- 보이스오버의 유형과 1960년 전후의 한국영화
- 영화적 시각의 변형에 대한 연구
- 조선무성영화 변사의 기능적 고찰과 미학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