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Director of Photography Conrad Hall: Focusing on Happy Accident and Magic Moment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박종호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24호, 225~24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eriod from the late 1960‘s to the mid 1970’s was particularly rich time for American cinematographers who were called upon to help a new generation of directors explore different ways of visualizing film genres. Among the most Prestigious who emerged during that era was Conrad Hall, who has died on January 4. He earned nine Academy Award nominations during his career. He also won Oscar twice, in 1969 for Butch Cassidy and The Sundance Kid, and in 2000 for American Beauty. He left Hollywood for over a decade after 1976‘s Marathon Man. He strove to avoid the artificial “Hollywood look” until that. He returned to feature filmmaking in 1987 with Black Widow. His willingness to take risks resulted in a rich cornucopia of cinematic triumphs. With Searching for Bobby Fischer(1993), he showed magic naturalism. The magic consisted of stylistic touches to heighten the atmosphere. he thought it was one of his best visual jobs. In both American Beauty(2000) and Road to perdition(2002), he showed naturalistic realism with beauty of contrast. He believed that filmmaking is about finding things out, it's about examining, and it's about discovering. Throughout His brilliant career behind the camera, he had a keen eye for “Happy accident and Magic moment” as he called. His greatest images will be both timeless and sublime. The images illustrated his journey into the darker recesses of the human psyche, a personal journey that will serve as a roadmap for current and future cinematographers. His cinematography has always been daring, edgy and sensuous in a way. Over the course of his career he had both a personal and professional impact on other cinematographers. But he spoke of his work not just in term of the camera or light, but in terms of drama and character. If we scratch him deep enough and we will find him as a director. Happy Accident and Magic Moment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전반기(1965~1977)
3. 후반기(1987~2003)
4. 맺는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멜로드라마에 나타난 남녀/관계 재현의 변화
- 우리 영화의 기원으로서 연쇄극에 관한 시론
- 영화교육 및 교직과정 연구
- 한국 영화에서 작가(주의) 담론의 역할에 대한 연구
- 디지털 영상제작 환경 분석을 통한 영화의질적 기여도에 대하여
- 정보의 바다에서사이버그는 무엇을 꿈꾸는가?
- 포스트 할리우드 시대의 미국 극장 산업의 변화
- 각본의 시각화에 대한 연구
- 촬영감독 콘래드 홀에 대한 연구
- 1920년대 초 조선총독부 활동사진반의 역할에 관한 연구
- 1990년대 한국 영화에 나타난 가족의미의 변화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샤이닝>에 있어서 다양한 시점숏의 의미 분석
- 희생양그리고 민족적 알레고리로서 여성이미지 분석
- 한국영화의 생존력 제고를 위한 연구
- 국내 멀티플렉스의 현황과 시설변화 추이
- 현대 한국영화에서 프로듀서의 중요성과 역할 연구
- 필름과 비디오의 MTF 비교
- Buster Keaton 코미디 원형에 대한 연구
- 보이스오버의 유형과 1960년 전후의 한국영화
- 영화적 시각의 변형에 대한 연구
- 조선무성영화 변사의 기능적 고찰과 미학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