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haracterizing Structure for Using Local Language(dialect) in Choonhyang-jeon Films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조희문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34호, 345~37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mong those films made in the south and north Korea there are over 20 movies that were adapted from Korean classical literature Choonhyang. The first one was filmed in 1923, and the latest one was in 2000. Although, Choonhyang-jeon was re-made over 20 times, everytime, they aroused many interesting issues and made box-office hit. It is such a unique situation because in the case of fims with one particular subject Choonhyang-jeon remained steady popularity repeatedly. The main reason Choonhyang maintained such popularity is because it manifests ordinary Korean people's most common and hidden desire in the way of epic poetry. Specially, in the movies, in order to distinguish the traits of main characters, the class and occupations were exaggerated by using the dialect of a certain province in Korea. For example, the characters who are in the higher class use standard language regardless of their origination.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s of third class use authentic dialect of the province. In other words, the dialects classifies the higher class characters such as noblety, and aristocrats (commonly the main characters rolls in the movies) and the third class characters such as servants, low class government employees,( the supporting rolls). Among many remakes of Choonhyang, the better use of dialect, the more box office hit it made. It shows a good example which showed a successful good use of dialects.
목차
1. 서론
2. 영화 ‘춘향전’의 제작과 변천
3. 소설 ‘춘향전’의 사설(辭說) 비교
4. ‘춘향전’의 영화의 캐릭터 설정과 지역어 사용 비교
5. 맺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제강점기의 영화논쟁 고찰
- 충무로 로드무비 장르 연구
- <5인의 해병>(1961)의 플래시백과 내면의 목소리
- 조선을 '조센'화하기
- 안나 메이 웡(Anna May Wong)
- 식민지시대 조선영화 남성 스타에 대한 연구
- 장이모 영화 속에 보여지는 '중화주의'의 시대적 의미에 관한 고찰
- 특집: 스타배우의 영화학적 자리매김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춘향전' 영화의 지역어 사용을 통한 캐릭터 구성 연구
- 차이밍량 영화에 나타난 스타일상의 흐름
- 한국영화에서 스타의 신호 역할과 재무적 가치
- 1960년대 후반기 한국 코미디영화의 갈등구조에서 드러나는 전통희극의 미학적 요소 연구
- 1950-60년대 한국영화 스타시스템에 대한 고찰
- 한국 영화의 시나리오 작성 표준안 마련을 위한 연구
- 여성/몸의 이미지 재현체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