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udy on the Historical Meaning of “Joongwha Ideology” in Representing Zhang Yimou's Films: Focusing on the Analysis of Hero, House of Flying Daggers, Curse of the Golden Flower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김형주 유경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34호, 159~18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oday, Chinese call themselves as the “Joongwha nation” and designate their culture as the “Joongwha culture.” In this way, they try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 of their nation and culture in “Joongwha ideology.” Joongwha is the meaning of the geographical center as well as the significant word of the national identity and the cultural superiority. “Joongwha ideology” seems to strengthen in China lately. It made this present situation that the government's intention which is increased nationalism played an important role rather than the consciousness of the nation. Nationalism, which is thought of filling up the lack of socialism, stresses the patriotic sentiment and unity to appeal to their national self-respect. It connotes the “Joongwha Ideology” in Zhang Yimou's films which are Hero, House of Flying Daggers, and Curse of the Golden Flower. Three films show Zhang Yimou's characteristic image aesthetics which is mostly traditional and chinese image with the setting of the past. Zhang Yimou's cinematic image, which is made to display rather chinese beauty and the majestic appearance than well-made narrative, was feasible with the national support. Indeed, these image consume with “Joongwha Ideology” ultimately. It tells that “Joongwha Ideology” represented in Zhang Yimou's films is connected with china government in good relationship.
목차
1. 머리말
2. 2002년, 〈영웅英雄〉의 등장과 중국 정부의 새 출발
3. 21세기 중국의 딜레마-‘사회주의’와 ‘자본주의’의 간극에서
4. 정체성 찾기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제강점기의 영화논쟁 고찰
- 충무로 로드무비 장르 연구
- <5인의 해병>(1961)의 플래시백과 내면의 목소리
- 조선을 '조센'화하기
- 안나 메이 웡(Anna May Wong)
- 식민지시대 조선영화 남성 스타에 대한 연구
- 장이모 영화 속에 보여지는 '중화주의'의 시대적 의미에 관한 고찰
- 특집: 스타배우의 영화학적 자리매김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춘향전' 영화의 지역어 사용을 통한 캐릭터 구성 연구
- 차이밍량 영화에 나타난 스타일상의 흐름
- 한국영화에서 스타의 신호 역할과 재무적 가치
- 1960년대 후반기 한국 코미디영화의 갈등구조에서 드러나는 전통희극의 미학적 요소 연구
- 1950-60년대 한국영화 스타시스템에 대한 고찰
- 한국 영화의 시나리오 작성 표준안 마련을 위한 연구
- 여성/몸의 이미지 재현체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