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even Films of Ming-liang Tsai: Statistical Style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김정호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34호, 125~15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bout Statistical film style analysis on Ming-liang Tsai's seven films. based on Barry Salt's method and Warren Buckland's contributions, it covers his films on Average Shot Length, Scale of Shot distribution, Reverse Angle Cutting rate, camera movement distribution as the key analysis Factors for film style analysis. Ming-liang Tsai uses extensively Long shot and Fixed camera. Could we say that Fixed camera is his own faculty? Or Fixed camera is the common camera movement in movies? With his elaborated shooting and editing method, he shows us small form of action.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차이밍량 감독의 지나온 길과 작품들
3. 연구대상과 방법
4. 차이밍량 감독의 작품 통계적 분석
5. 맺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제강점기의 영화논쟁 고찰
- 충무로 로드무비 장르 연구
- <5인의 해병>(1961)의 플래시백과 내면의 목소리
- 조선을 '조센'화하기
- 안나 메이 웡(Anna May Wong)
- 식민지시대 조선영화 남성 스타에 대한 연구
- 장이모 영화 속에 보여지는 '중화주의'의 시대적 의미에 관한 고찰
- 특집: 스타배우의 영화학적 자리매김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춘향전' 영화의 지역어 사용을 통한 캐릭터 구성 연구
- 차이밍량 영화에 나타난 스타일상의 흐름
- 한국영화에서 스타의 신호 역할과 재무적 가치
- 1960년대 후반기 한국 코미디영화의 갈등구조에서 드러나는 전통희극의 미학적 요소 연구
- 1950-60년대 한국영화 스타시스템에 대한 고찰
- 한국 영화의 시나리오 작성 표준안 마련을 위한 연구
- 여성/몸의 이미지 재현체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