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Nick Broomfield's Methodology for Documentary Filmmaking: Critical Analysis of Aileen: Life And Death Of A Serial Killer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김학순 이기중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38호, 281~31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Nick Broomfield is a well-known documentary filmmaker in the world as well as in the United Kingdom. His documentaries are characterized by fearlessness, social satire, black humor and creepy characters living in the margins of society. Especially, Broomfield's latest films are very reflexive and can also be categorized as a 'participatory mode'. The paper begins with a brief review of Nick Broomfield's background. Secondly, it explores the concept of reflexivity in the documentary film. Thirdly, it briefly explains a participatory mode and poetics of interview in the documentary film. And then it overviews broadly Nick Broomfiled‘s methodology for documentary film-making in special reference to reflexivity and participatory mode. The latter part of the paper focuses on Aileen: Life and Death of a Serial Killer as a text and critically analyzes the textual components and contents. According to Broomfield, Aileen: Life and Death of a Serial Killer is the most personal film to date. In Aileen, the filmmker is a main part of the film and his presence becomes main structure of the story. The intrusion of him into the situation affects and alters that situation. Broomfield insists that it is more honest to make his presence in front of the camera rather than to stay behind the camera. He thinks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ilm-maker and those being filmed is important. He also reveals the process of his pursuing the truth in the film and filmmaking itself in Aileen so that the audience understands it. In this way, his film is reflexive as well as participatory.
목차
1. 서론
2. '성찰성'과 '참여적 다큐멘터리'
3. 닉 브룸필드의 다큐멘터리영화방법론 개관
4.〈아일린: 연쇄살인자의 삶과 죽음〉분석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영화 극적 구조 분석 및 새로운 지점에 대한 고찰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재현을 넘어서는 영화미학
- 연극영화과 교원임용고사 개선을 위한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 상세화 연구
- 한국영화 스타파워 분석
- 연극영화과목 중등교사 임용시험 2차(논술형) 예시평가도구 연구
- 연극영화 교과의 특성에 맞는 중등임용시험의 3차 평가(수업능력 평가) 개선 방안
- 연극영화과목 중등교사 임용시험 1차(선택형) 평가 개선 방안 연구
- 영화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의 현상학적 접근을 통한 표현적 의미 고찰
- 중국영화의 국적성 혹은 지역성과 역사ㆍ문화정치학
- 연극영화교사 자격기준에 관한 연구
- 대구 영화산업의 현황과 육성전략
- 닉 브룸필드(Nick Broomfield)의 다큐멘터리영화방법론 고찰
- 지금 이곳 한국영화산업의 화두
- 한국 범죄영화에서 도시, 가족, 계급의 문제
- 멀티미디어 시대의 국내 영상제작 시스템 연구
- 영화교육자의 양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