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resent State and Promotion Strategy of the Film Industry in Daegu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서곡숙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38호, 105~12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research wants to study on the present state and promotion strategy of the film industry in Daegu. The first, I want to consider the present state of the film industry in Daegu. The culture industry measures of Daegu are solidifying the foundation of culture industry, promoting this city as an international game city, building up the foundation of performance industry, and encouraging the film/animation industry. The film industry measures of Daegu are operating the film media center, holding the short film festival of Daegu, holding the ani-character festival, and so on. The activities of the Daegu Film Media Center are educating film/media, lending film equipment and instrument, screening the movie not to show, and so on. The aspects of the film industry in Daegu are the lack of infrastructure of film production, the consumption-oriented tendency, difficulty of independent film and uncommercial film distribution, the lack of location results, the lack the economic effect, no Film Committee, no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he second, the promotion plan of the film industry in Daegu is cultivating human resources by film education, establishing human infrastructure, building up the base of the development of the film industry by Daegu Film Committee, the integration of human infrastructure and material infrastructure, the combined power of local film associations, development/production of contents and formation of a market, a model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Daegu film, promotion of Daegu film industry fund, and so on. The present state of the film industry in Daegu is given little weight and that should be needed. In promotion strategy of the film industry in Daegu there are only individual discussions and no mutual suggestion and no concrete practice, then integration and the choice/concentration is needed.
목차
1. 한국 영화산업의 발전과 지역 영화산업의 침체
2. 대구 영화산업 현황과 양가성
3. 대구 영화산업 육성 방안
4. 대구 영화산업의 잠재성 : 약점이 곧 강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영화 극적 구조 분석 및 새로운 지점에 대한 고찰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재현을 넘어서는 영화미학
- 연극영화과 교원임용고사 개선을 위한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 상세화 연구
- 한국영화 스타파워 분석
- 연극영화과목 중등교사 임용시험 2차(논술형) 예시평가도구 연구
- 연극영화 교과의 특성에 맞는 중등임용시험의 3차 평가(수업능력 평가) 개선 방안
- 연극영화과목 중등교사 임용시험 1차(선택형) 평가 개선 방안 연구
- 영화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의 현상학적 접근을 통한 표현적 의미 고찰
- 중국영화의 국적성 혹은 지역성과 역사ㆍ문화정치학
- 연극영화교사 자격기준에 관한 연구
- 대구 영화산업의 현황과 육성전략
- 닉 브룸필드(Nick Broomfield)의 다큐멘터리영화방법론 고찰
- 지금 이곳 한국영화산업의 화두
- 한국 범죄영화에서 도시, 가족, 계급의 문제
- 멀티미디어 시대의 국내 영상제작 시스템 연구
- 영화교육자의 양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커피 프랜차이즈 기업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전략 연구 - 큐렌들리 마케팅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