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rovement the 3rd Test for Teaching Ability of the Selection Examination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Corresponding to Characteristic of Drama and Film Subject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장우진 이연심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38호, 225~25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selection examination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was centering around a written examination till now, therefore it had a limit to evaluate actual teaching ability. However the selection examination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will be amended by decree of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No. 914, and actual teaching ability will be evaluated at the 3rd test of the examination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by this amendation. In a word communication ability and learning guidance ability as a teacher will be concentrated on through demonstration class at the 3rd test. This paper researches on improvement the 3rd test which should evaluate actuall teaching ability corresponding to characteristic of drama and film subject; what kind of tests should be included in the 3rd test? what points should be evaluated specifically at the 3rd test? How should the 3rd test be progressed? We proposed that the 3rd test should be composed of 3 steps(① teaching planning, ② class-demonstrating, and ③ an interview on the demonstration) at first. Then we developed evaluation area and standards for each step. We also suggested multiple-choice question and demand-supplying question for fairness and validity of this examination. In addition, we worked out some example questions and examination system for the 3rd test of the examination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목차
1. 수업능력 평가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극·영화 과목 특성에 맞는 수업 능력 평가 문항 및 도구에 대한 이론적 접근
3. 수업능력평가의 평가 영역 설정 및 기준 개발
4. 평가의 공정성과 타당성 확보를 위한 방안 및 제언
5. 수업능력 평가 예시도구 개발
6. 수업능력 평가의 시행방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영화 극적 구조 분석 및 새로운 지점에 대한 고찰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재현을 넘어서는 영화미학
- 연극영화과 교원임용고사 개선을 위한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 상세화 연구
- 한국영화 스타파워 분석
- 연극영화과목 중등교사 임용시험 2차(논술형) 예시평가도구 연구
- 연극영화 교과의 특성에 맞는 중등임용시험의 3차 평가(수업능력 평가) 개선 방안
- 연극영화과목 중등교사 임용시험 1차(선택형) 평가 개선 방안 연구
- 영화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의 현상학적 접근을 통한 표현적 의미 고찰
- 중국영화의 국적성 혹은 지역성과 역사ㆍ문화정치학
- 연극영화교사 자격기준에 관한 연구
- 대구 영화산업의 현황과 육성전략
- 닉 브룸필드(Nick Broomfield)의 다큐멘터리영화방법론 고찰
- 지금 이곳 한국영화산업의 화두
- 한국 범죄영화에서 도시, 가족, 계급의 문제
- 멀티미디어 시대의 국내 영상제작 시스템 연구
- 영화교육자의 양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커피 프랜차이즈 기업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전략 연구 - 큐렌들리 마케팅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