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혁명이후, 1960년대 쿠바영화의 표현양식 구축 과정 연구

이용수  3

영문명
The Cuban Cinema and Its Modes of Representation in the 1960s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정태수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64호, 177~20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60년대 쿠바영화는 1959년 1월 1일 혁명군이 쿠바의 수도 아바나에 입성하면서부터 이미 시작되었다. 혁명은 쿠바 영화의 제작, 배급, 상영뿐만 아니라 내용과 형식, 지향과 목표 등에 이르기까지 기존의 모든 영화의 형태를 근본적으로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쿠바영화는 혁명이전 미국영화의 강력한 영향력하에 놓여 있었기 때문에 혁명이후 산업적으로나 형식적으로 독립적인 창작토대를 구축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었다. 따라서 혁명이후 쿠바 영화는 쿠바영화만의 독립적이고 독창적인 특징을 가진 영화의 필요성이 무엇보다 중요하였다. 이를 위해 쿠바 혁명정부는 유럽과 사회주의권 영화창작가들과의 협력을 통해독립적인 쿠바 영화의 특징을 구축해 나가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것은 혁명이후 1960년대 쿠바 영화가 외국영화로부터 영향 및 실험정신과 창작적 시도를 통해 다양화 하였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따라서 1960년대 쿠바 영화의 표현 양식적 특징은 이탈리아, 소련, 체코, 동독, 프랑스로부터의 사실주의, 종속관계, 누벨바그의 창작적 혁신과 같은 창작토대와 수법의 적극적 수용을 통해 독창적인 표현양식과 미학적 시도로 나아갈 수 있었다. 그리고 이것은 1960년대 쿠바 영화의독립화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불완전영화라는 개념의 논리를 세울 수 있게 된것이다.

영문 초록

The Cuban cinema of the 1960s already began when the Cuban revolutionary armed forces made a triumphal entry into Havana, the capital of Cuba. The revolution was a cause for the essential reorientation of all parts of Cuban cinema shaped in the previous era, not only its production, distribution, and exhibition, but also its forms and contents and its goals and aims. However, since Cuban cinema was strongly influenced by American cinema in the era before the revolution, in terms of both the film industry and form, it was in the state that it is difficult for it to independently and also creatively establish its own ground. In order to build its own film industry and forms of film, the revolutionary government pursued the goal for building its own film industry through the cooperation with filmmakers in European, especially socialist countries. The Cuban Cinema’s cooperation with socialist countries for assistance shows that the Cuban cinema of the 1960s, its forms and contents, were diversified, while being influenced by the socialist films, especially their experimental and creative aspects. By bringing in the realistic aspect from Italy, the relationship of subordination from the Soviet Union, Czechoslovakia, and East Germany, and the New Wave from France, the revolutionary government was able to shape what their revolutionary movies looked like. Through its cooperaton with socialist countries and filmmakers, the revolutionary government was able to set up the concept of Imperfect Cinema, a symbol of the independence of the 1960s Cuban cinema.

목차

1. 1959년 쿠바영화의 현실
2. 다양한 국가로부터의 다양한 수법의 수용
3. 영화창작에 대한 유연성
4. 새로운 실험, 창작논리를 통한 독자성 구축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태수. (2015).혁명이후, 1960년대 쿠바영화의 표현양식 구축 과정 연구. 영화연구, (), 177-202

MLA

정태수. "혁명이후, 1960년대 쿠바영화의 표현양식 구축 과정 연구." 영화연구, (2015): 177-2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