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90년대 강우석 영화의 서울 공간 재현

이용수  0

영문명
Representation of the Spaces in Seoul in Kang Woo-suk’s Films during the 1990s: Focusing on the Residential and Urban Spaces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장우진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75호, 7~3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가장 대중적인 상업영화 감독으로 인정받는 강우석 감독의 1990년대영화가 서울의 주거공간과 도시공간을 어떻게 재현하고 있는지 논의한다. 분석대상은 서울 올림픽 이후부터 IMF 사태 발생 전까지 제작된 <행복은 성적순이아니잖아요>(1989), <나는 날마다 일어선다>(1990), <누가 용의 발톱을 보았는가>(1991), <미스터 맘마>(1992), <투캅스>(1993), <마누라 죽이기>(1994), <투캅스2>(1996)이며, 이들 작품은 모두 서울을 공간적 배경으로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글이 제기하는 질문은 세 가지이다. 첫째, 1990년대 서울 공간 변화의 특징이 무엇인가? 둘째, 1990년대 강우석의 영화들은 서울의 주거공간과 도시공간을어떻게 재현하고 있는가? 셋째, 그러한 주거공간과 도시공간의 영화적 재현을 통해 우리가 독해할 수 있는 당대의 가치체계나 욕망, 불안 등은 어떠한 것인가? 1990년대는 경제적 호황과 더불어 중산층이 급부상한 시기였다. 이 시기에 서울은 아파트 단지가 대규모로 개발되었고 교통망이 크게 확충되었다. 이에 따라도시 분산화가 이루어졌고, 아파트는 서울 중산층의 대표적 주거공간이 되었다. 강우석의 영화는 1991년까지 주로 현실 비판의 영화였으며, 아파트를 부정적이미지로 재현하였다. 그러나 1992년 이후 아파트는 중산층 인물의 평범하고도일상적인 주거공간으로 제시되었다. 이는 당시 아파트가 중산층이 소유하기를 원하는 욕망의 대상이 된 현실을 반영한 것이며, 강우석의 영화는 현실과 동경의어색한 부정교합 형태로 중산층의 욕망을 소비하게 만들었다. 또한, 당시 한국영화가 도시의 화려함에 주목한 반면, 강우석의 영화는 개발이되지 않았거나 이미 버려진 도시의 주변공간을 주목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것은발전의 미완을 상기시켜 주었다. 한편, 강우석의 영화는 새로운 도시공간으로서자동차 실내공간을 제시하였다. 당시 중산층의 사적 욕망과 소비 대상이었던 자동차의 실내공간은 이제 개인의 자유와 프라이버시가 보장된 은밀한 사적 공간으로 재현되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discusses how are the residential and urban spaces in Seoul represented in the 1990s movies directed by Kang Woo-suk who was recognized as the most popular commercial film director in Korea.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1989), <나는 날마다 일어선다>(1990), <누가 용의 발톱을 보았는가>(1991), <미스터 맘마>(1992), <투캅스>(1993), <마누라 죽이기>(1994), <투캅스2>(1996). All of these have a common thing that they have a spatial background in Seoul. There are three questions that this paper pose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hange in Seoul during the 1990s? Second, how did the films of Kang Woo-suk in the 1990s reproduce the residential and urban spaces in Seoul? Third, what are the value systems, desires, and anxieties of those days that we can read through the cinematic representation of residential spaces and urban spaces? The 1990s was a time when the middle class emerged with economic boom. At this time, apartment complexes were developed on a large scale in Seoul and the transportation network was greatly expanded. As a result, urban decentralization has been achieved, and the apartment has become a representative residential space of the middle class in Seoul. Kang Woo-suk ‘s movies were mainly films of criticism of reality until 1991, and they reproduced the apartments as negative images. However, since 1992, apartments have been presented as ordinary and everyday living spaces of middle class people in his movies. This reflects the fact that the apartment was the object of desire to be owned by the middle class at that time, and Kang Woo-suk’s movie made spectators consume the desire of the middle-class in the form of awkward malocclusion of reality and longing. In addition, while Korean films generally paid attention to the splendor of the city, Kang Woo-suk’s films tended to pay attention to the surrounding space of the city that had not been developed or had been abandoned. This reminded us of the incompleteness of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Kang Woo-suk’s movies presented the interior space of a car as a new urban space. The interior space of a car, the target of private desires and consumptions of middle class, became represented as a private urban space with individual freedom and privacy guaranteed.

목차

1. 서론
2. 1990년대 서울 공간 변화의 특징과 영화의 재현
3. 강우석 영화의 주거공간 재현 : 아파트와 중산층의 욕망
4. 강우석 영화의 도시공간 재현 : 발전의 미완, 그리고 마이카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우진. (2018).1990년대 강우석 영화의 서울 공간 재현. 영화연구, (), 7-37

MLA

장우진. "1990년대 강우석 영화의 서울 공간 재현." 영화연구, (2018): 7-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