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power in Jacques Audiard’s Rust and Bone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이선우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82호, 309~33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프랑스 작가주의 감독 자크 오디아르의 <러스트 앤 본>에 드러나는육체성에 주목하여 오늘날 신자유주의 세계 속 몸과 권력의 관계에 대한 영화적재현을 살펴본다. 이 작품에서는 육체적으로는 완벽하지만 사회적 규범이 요구하는 정상성에 미치지 못하는 경제적 무능력자인 남성과 사회의 주류로 살다가 어느 날 갑자기 육체에 훼손을 입어 장애인이 됨으로써 사회의 중심부로부터 떨어 져 나오게 된 여성의 만남을 제시한다. 이 두 인물을 ‘불완전한 몸’으로 정의하고각각의 몸이 재현되는 양상을, 훼손된 육체와 원시적 육체로 구분하여 분석해 보고자 한다. 서로 다른 측면에서 결여 혹은 결핍된 몸을 가진 두 인물이 생존해 나가는 양상을 살펴보고 이들의 사적 유대 관계에서 시작되는 삶의 전환을 통해 현대 사회에서 주변인들이 주체로 살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 본다. 개인을제어하고 지배하는 권력의 문제, 그리고 주권의 영역으로부터 배제되고 버려진개인을 지속적인 테마로 삼고 있는 오디아르의 영화들을 통해 생물학적 실존에서부터 저항의 실마리를 발견해 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inematic represent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power in the neoliberal world today, focusing on the physicality revealed in Rust and Bone by french director Jacques Audiard. In this film, we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a man who is physically perfect but who is economically incapable of meeting the normality required by social norms and a woman who lived in the mainstream of society but suddenly became physically disabled and separated from the center of society. Defining these two characters as ‘imperfect’, ‘deficient bodies’, we analyze the representation of the two bodies dividing into damaged body and primitive body. And this study examines the survival of two characters with lacking bodies in different ways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living as subject in modern society through the transition of life that begins with their personal ties. I would like to discover the clues of resistance from biological existence of power that control and dominate the individual, focusing on Audiard’s films with the persistent theme of being excluded and abandoned from sovereignty.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불완전한 몸
3. 주체적 삶의 가능성
4.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