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Gesture and the Subversion in the Burlesque Film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서정아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82호, 277~30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뷔를레스크(Burlesque)영화의 핵심은 ‘시각적 개그와 코믹한 제스처’인데, 개그와 제스처는 서사체계에 삽입된 신체의 움직임으로 곡예적이고 폭력적인 행동들로 구성된다. 개그는 서사체계의 합리적 논리를 벗어난 비합리적이고 이질적인 요소로서 서사체계를 단절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뷔를레스크 영화에서 개그의 가치는 서사체계와 비합리적인 행위와의 단절효과에 국한되지 않는다. 개그는 수용자인 관객의 현실세계에서의 기다림과 예측할 수 없는전개사이에서 간극을 발생시키고, 간극이 심화될수록 선형적인 서사체계와 개그사이에 이질적인 ‘부조화’를 만들어낸다. 또한 개그는 질서와 무질서,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현실을 재규정, 재조직하는 ‘역동적 형식’이 된다. 개그는 신체의 비정상적인 행위로 이뤄진 상황극 이라기보다는 서사체계와 독립하여 서사체계를 전복시키는 형식이자, 사회적 관습과 통념에 저항하고 그 경계를넘어서려는 정신을 담은 구조화된 형식이다. 따라서 뷔를레스크 영화는 현실의사회적 모순과 부조리를 자각하고 저항하는 ‘전복적 가치’를 지향한다. 이 전복적가치는 프랑스의 뷔를레스크 문학 정신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이 논문은 뷔를레스크 문학의 정신이 1910-1920년대 할리우드 뷔를레스크 영화의 개그와 제스처에서 구현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또한 뷔를레스크 영화의 대표감독인 채플린과키튼이 개그와 제스처를 통해 부조화의 논리를 상이한 방식으로 형식화하고 전복적 가치를 구현하는 과정을 고찰한다. 이를 통해 뷔를레스크 영화의 개그와 제스처가 지향하는 가치는 타자에 대한 실존적 존재방식임을 밝힐 것이다.
영문 초록
Burlesque film is characterized by “visual gags and comic gestures.” Gags consiste of acrobatic, violent, and irrational gestures. Gag was recognized as an irrational and heterogeneous element beyond the rational logic of the narrative system and was recognized as a role of interruption in the narrative structure. However, the gags in the Burlesque film are not limited to the disconnection of narrative and abnormal gesture, but are perceived as a ‘dynamic structure’ that re-organizes and reorganizes reality by simultaneously generating order and disorder. Gags can be described as a form of subversion in the narrative structure. Gags create a gap between the audience’s expectation in the real world and unpredictable development, and as the gap deepens, a linear narrative system and heterogeneous ‘dissonance’ of gag occurs. Gag is not a situational play caused by abnormal gesture of the body, but a structured form that contains the spirit of resisting and crossing social boundaries and conventions. Burlesque Films aims at “subversive values” that recognize and resist social contradictions and absurdities of reality. This subversive value has its roots in the spirit of French’s Burlesque literature. This paper analyses how the spirit of Burlesque literature is embodied in the gags and gestures of Hollywood films in the 1910-1920s. It examines also how the subversive values is realized in the form of gags and gestures in the Chaplin’s film and Keston’s film. Through this, the gags and gestures of the Burlesque film will be revealed as an the existential way of being for others in reality.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