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Safety of South Korea has Fallen”: A New National Trauma of Collapsed Community Ethics in Korean Disaster Films
이용수 9
- 영문명
- “대한민국의 안전이 추락했다.”: 한국 재난 영화 속 붕괴된 공동체 윤리의 새로운 국가적 트라우마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성경숙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84호, 229~25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2016년도에 개봉한 한국 재난영화 <부산행>(2016)과 <터널>(2016) 에서 다루고 있는 한국의 국가적 트라우마를 들여다보고 이 두 영화가 어떠한 비 판적인 시선으로 이 트라우마들과 이를 둘러싼 사회 각계각층의 사람들을 그려 내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 두 영화는 최근 한국에서 일어난 인재를 소재 화했는데, 부조리한 사회 제도와 해당 국가기관 및 담당자에 대한 자체비판뿐만 아니라 이 사건들이 일어나게 된 이유와 그 해결책을 찾으려고 애쓰는 대중들 사 이에서 폭넓은 토론을 이끌어냈다. 특히 본 논문은 사회문제에 기반을 둔 재난영 화들이 어떤 배경에서 제작되고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그리고 어떠한 이유로 한 국관객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게 됐는지에 대해 영화 사회학적 관점에서 살펴본 다. 블록버스터 영화 장르에도 속하는 한국의 재난영화가 관객을 “즐겁게” 해주 는 역할만 하고 있지 않는다는 사실은 흥미롭다. 현대 한국사회의 트라우마를 담 고 있는 이 영화들은 해당 사건을 보도하는 강력한 수단으로 기능하여 집단적 공 감을 얻으면서 현 사회를 비판한다.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한 물리적 및 영화적 리얼리티 사이의 안전거리가 깨진 트라우마들은 관객들에게 이 충격적인 경험들 이 영화 속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이야기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관객들에게 이 재난영화들은 이 사건들이 잊혀지거나 침묵을 강요당 하거나 반복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들 재난영화를 향한 관객들의 의도는 어쩌면 위급한 상황에 대한 비판을 넘어 인류의 윤리적 태도를 재확인하 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국가로 태어나는 것을 기대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focuses on the newly introduced Korean national trauma and the country’s cinematic criticism of society and people from different social groups, as they have been represented in the recent releases of Korean disaster films, Train to Busan (2016) and Tunnel (2016). Both films depict manmade disasters which happened in modern South Korean society characterized with an absence of justice and are remembered as traumatic by South Korean citizens. They led to a wide discussion in the public that tried to find the reasons and solutions related to such issues, as well as to a self-criticism revolving around the social system and authorities.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the question of which background these socially based disaster films are produced in and how/why they have received the enthusiastic support of the Korean audience, from a film sociological perspective. It is interesting to observe that the Korean disaster film belonging to the blockbuster film plays a role not only as one of the important entertainment film genres which aim is to make the audience ‘pleasant.’ Depicting traumas of the modern South Korean society, these films serve also to criticize society, ‘using a powerful method for reporting and getting collective empathy.’ The traumas based on the real events the safe distance between physical and cinematic reality is broken, the films remind the audience of the traumatic experiences which don’t exist only in the film, but also could be theirs. For the audience these disaster films show that their subjects should not be forgotten, silenced or repeated. The audience’s intention toward these disaster films may be to reconfirm the ethical attitudes of humanity, beyond the criticism of an emergency situation, and anticipate are a reborn nation.
목차
1. Korean popular culture and disaster films
2. South Korean trauma: Korean War to the sinking of the Sewol
3. Film analysis: Train to Busan (2016) and Tunnel (2016)
4. Conclusion: The meaning and interaction of Korean disaster films with current Korean society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연구 게재논문 투고, 심사(수정), 게재확정일 외
- 1960-70년대 외화수입과 외화검열체제의 변화
- ‘봉준호 장르’의 가능성
- 북한 전쟁영화와 기록영화 속 미국(군) 표상 연구
- 화양연화:불충족의 욕망과 불가능한 욕망의 어긋남에 대하여
- 전후 북한영화의 재건에 관한 연구
- 영화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Once Upon a Time in Hollywood, 2019)의 미장아빔(mise en abyme) 연구
- 간격의 영화와 소수자 정체성 번역하기
- “The Safety of South Korea has Fallen”: A New National Trauma of Collapsed Community Ethics in Korean Disaster Films
- <비무장지대>(1965)에서 나타난 빈 공간의 걷기를 통한 감정의 영화적 지도그리기
- 한국 로드무비의 심상지리와 시대 정서
- 영화연구 제84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