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봉준호 장르’의 가능성

이용수  9

영문명
The Possibility of ‘Bong Joon-ho Genre’: Chronotope Narrative Strategy of Film Parasite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박진후 임대근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84호, 61~8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화 <기생충>의 크로노토프 서사전략은 ‘봉준호 장르’라는 새로운 영화유형 탄생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감독은 영화 속 사건들을 오늘날 의미 있는 ‘역사적 사건’으로 재현함으로써 ‘과거의 현재’로부터 ‘새로운 현재’를 만들어 낸다. 이것은 봉준호 영화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특징 중 하나이다. 그는 추상적이고 보편적 인 사회문제를 한국사회라는 구상적인 크로노토프로 구현함으로서 로컬리티 (locality)를 확보하고, 이를 통해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을 시도한다. 이 때 발생하는 문화장벽은 봉준호 영화의 특기인 ‘장면의 부조화’, ‘한국적 이미지 와 상징물 활용’ 등의 오락적 요소들로 극복했다. 여기에 감독 특유의 연출력과 인물들의 개성이 더해지면서 영화는 경쟁력을 갖추게 됐다. 영화서사의 중심축을 이루는 장소는 크게 두 곳인데, 기택의 가족이 거주하는 반지하 집과, 동익이 사는 고급주택이다. 감독은 하나가 될 수 없는 두 세계를 연 결시켜 자본주의의 패착인 신계급주의 권력구도를 가시화 한다. 이 때 영화가 보 여준 계급구도는 자본의 소유정도로 구분되는 정형화 된 선과 악의 구도가 아니 다. 감독은 인물들이 서로 경쟁하는 모습을 통해서 세상에 절대 선과 악이 없으 며, 누구든지 악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여기서 봉준호 영화의 또 다른 특기인 ‘결론 뒤집기’, ‘시공간의 대조적 묘사’, ‘낯설지만 친숙한 장소 활용’이라는 서사 전략이 드러나고, 이를 통해 영화는 하나의 장르로 규정할 수 없는 새로운 ‘봉준 호 장르’가 된다. 본 연구는 영화 <기생충>의 크로노토프에 나타난 서사전략을 분석해서 그것 이 장르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폈다. 영화를 이해하는 이데올로기이자 서사의 토대가 되는 크로노토프는 영화 속 사건이 진행되는 사회적 맥락과 진행 방식을 보여준다. 이때 사용된 서사방식은 기존 영화에서 볼 수 있었던 장르문법 이 아닌, 새롭게 창조 된 장르문법을 따랐으며, 이런 규칙은 한국문학과 영화에서 주로 다루는 중심 소재 및 주제와 결합해서 한국적 장르영화의 탄생을 가늠할 수 있게 한다.

영문 초록

The chronotopic narrative strategy of the film Parasite shows the possibility of the birth of called Bong Joon-ho genre. The director reinterprets ‘historical events’ through the film and presents the new meanings they have today. This is one of the features that is often found in Bong Joon-ho’s films. He attempts to achieve glocalization through constructing a representative chronotope which in this case is Korean society dealing with abstract and universal social problems. He overcomes the cultural barrier with entertaining elements such as ‘disharmony of the scenes’ and ‘utilization of Korean images and symbols’. In addition to this, the director’s ability and personality of the characters make the film competitive. There are mainly two places that form the central axis of the film narrative: Gitak’s cheap semi underground house and Dongik’s luxury house. The director connects the two worlds that cannot be united, and visualizes the new hierarchy of the capitalist society. It is not a simple structure like the rich are good and the rest are evil. He tries to illustrate that there is no absolute good or evil in the capitalist world. Anyone could become evil during the competition. The strategies often found in Bong Joon-ho’s films, ‘overturning conclusion’, ‘contrasting time and space’, and ‘using unfamiliar but familiar place’, reveal the new Bong Joon-ho genre that cannot be defined as a current film genre. This study analyses the narrative strategy of chronotope in Parasite, and how it influences the formation of the film’s genre. Chronotope, the ideology of understanding films and the basis of narrative, shows how the events in the film are processed in the social context. The narrative method used in this film is not a genre grammar which can be seen in existing films, but a newly created one. The combination of this method and the main subjects and themes of the Korean literature and film shows the possibility of a new Korean film genre.

목차

1. 서론: ‘봉준호 장르’에서 크로노토프의 역할과 기능
2. ‘길의 크로노토프’에서의 서사전략
3. ‘살롱의 크로노토프’에서의 서사전략
4. 결론: 한국적 장르영화 탄생의 가능성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진후,임대근. (2020).‘봉준호 장르’의 가능성. 영화연구, (), 61-87

MLA

박진후,임대근. "‘봉준호 장르’의 가능성." 영화연구, (2020): 61-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