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motional Cinematic Cartography Throughout Walking of Empty Spaces in The Demilitarized Zone (1965)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남승석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84호, 141~195쪽, 전체 5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9,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비무장지대>(박상호 감독, 1965)에서 나타난 비무장지대에서 어린 아이의 걷기를 통한 감정의 영화적 지도그리기의 사회학적 함의를 고찰하고 영 화의 미학적 성취에 대한 위상을 재고한다. 세미다큐멘터리 형식을 가진 <비무장 지대>는 다음과 같은 것을 재현하고 드러낸다. 우선 비무장지대는 1950년에 한국 전쟁이 발발하고 전투가 지리멸렬해지고 결국 1953년에 휴전하기까지 3년여 동 안 그리고 그 이후 한반도의 분단의 결과를 재현하는 아이러니의 장소이다. 다음 으로 공동경비구역은 비무장지대와 관련된 시대의 감정 구조를 남군과 북군의 수행적 행위로 보여주고 드러내는 일종의 극장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 극장 에서는 진실은 철저히 은폐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분단의 문제가 회담을 통해 해결될 것만 같은 판타지를 지속적으로 생산한다. 본 연구는 비무장지대에 대한 다음과 같은 3차 단계로 이루어진 영상문화연구를 시도한다. 제1차 단계에서는 영상문화와 도시이론의 ‘빈 공간 ’과 ‘걷기’ 개념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본 다. 제2차 단계에서는 역사와 기억 및 감정 그리고 ‘영화적 지도그리기’에 대해 선행연구들을 살펴본다. 제3차 단계에서는 빈 공간의 걷기를 통한 영화적 지도그 리기라는 수행적 발화를 통해 <비무장지대>의 영상미학적 성취를 고찰한다. 요 약하면, <비무장지대>는 국내 분단 상황에 대한 원형적 재현을 시도한 작품일 뿐 만 아니라 공간 중심의 다큐멘터리로서 선구적인 영상예술 미학의 성취를 이룩 한 작품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gards the limited closed space shown as a kind of abandoned and ruined city in the semi-documentary the Demilitarized Zone (1965) directed by Park Sang-ho and considers this film a sort of cinematic Cartography through the walking of a child in a kind of empty space. The DMZ(the Demilitarized Zone) is an ironic space produced by the war and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for two years from the Korean War in 1950 to the ceasefire in 1953, and more than 70 years later. The ironic space is firstly a green space where animals and plants are preserved, and secondly, an area of high-density danger and pollution from abandoned military facilities and waste, and thirdly, kind of panopticon which is filled with staring tensions of the South and the North. It is an ironic 'empty space' as an unattended zone. JSA(the joint security zone) serves as a kind of theater that reveals the emotional ambivalence of people related to the DMZ throughout a theatrical performance of the South and North representatives. But this theater (JSA) almost produces forlorn hope such as vain fantasy that every military conflict and Problems of any sort are easily worked out through talks. This study attempts to study image culture as the third stage for the DMZ like the following. In the first stage, the genre customs and aesthetics of visual arts, semi-documentary, and documentary dramas are considered. And in the second stage, I will conceptualize 'empty space,' 'walking,' and 'cinematic cartography.' In the third stage, I analyze the Demilitarized Zone with 'walking' of 'empty space', explain finally how the film accomplishes a visual aesthetic achievement by 'cinematic cartography'. The Demilitarized Zone is an anti-war film that attempts to represent the archetype of collective memory and cultural identity concerning the DMZ and achieve aesthetics of visual arts with a pioneer position in the spatiality of Korean documentary films.
목차
1. 서론
2. 빈 공간과 걷기 : 비무장지대의 어린이의 걷기
3. 영화적 지도그리기 : 역사와 기억, 서사와 감정
4. <비무장지대> : 빈 공간의 걷기를 통한 감정의 영화적 지도그리기
5. 결론을 대신하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연구 게재논문 투고, 심사(수정), 게재확정일 외
- 1960-70년대 외화수입과 외화검열체제의 변화
- ‘봉준호 장르’의 가능성
- 북한 전쟁영화와 기록영화 속 미국(군) 표상 연구
- 화양연화:불충족의 욕망과 불가능한 욕망의 어긋남에 대하여
- 전후 북한영화의 재건에 관한 연구
- 영화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Once Upon a Time in Hollywood, 2019)의 미장아빔(mise en abyme) 연구
- 간격의 영화와 소수자 정체성 번역하기
- “The Safety of South Korea has Fallen”: A New National Trauma of Collapsed Community Ethics in Korean Disaster Films
- <비무장지대>(1965)에서 나타난 빈 공간의 걷기를 통한 감정의 영화적 지도그리기
- 한국 로드무비의 심상지리와 시대 정서
- 영화연구 제84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