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ship of the Two Japanese and Korean Films, A Wife Confesses: Cinematic Plagiarism and Adaptation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정종화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93호, 87~11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일본영화 <아내는 고백한다>(마스무라 야스조, 1961)와 한국영화 <아내는 고백한다>(유현목, 1964)의 비교 텍스트 분석을 통해 1960년대 중반 한국영화에서 작동한 표절과 번안의 양식을 고찰한다. 이 과정에서 일한 두 영화의 관계는 텍스트 비교 차원에서만 논의되는 것이 아니라 넓게는 1960년대 초중반 한국 사회의 일본문화 수용 맥락, 좁게는 유현목 감독의 초기 연출 세계와 연동되어 있음이 파악된다. 1960년부터 1965년까지 시기 한국 사회는 일본에 대한 민족적 저항감과 그 문화에 대한 호기심과 향수가 착종되어 일본문화 수용과 관련한특별한 국면을 만들고 있었다. 1962년 5월 서울에서 개최된 아시아영화제가 대표적인 사건이다. 당시 공식적인 리메이크로 알려진 한국영화 <아내는 고백한다>는 일본영화원작의 시나리오를 베끼는 것에서 출발했다. 1960년대 한국영화계에서 일어난 표절 논란의 본질을 공유한다. 유현목 감독 역시 일본 원작에서 번안한 시나리오를충실하게 영화화하는 쪽으로 연출 방향을 잡았다. 물론 그 과정에서 당대의 멜로드라마적 화법과 미학적 야심에 기반한 그의 시청각적 연출이 더해진다. 마스무라 야스조와 유현목의 두 영화는 같은 이야기에서 출발했지만, 미학적, 스타일적방법론은 완전히 달랐고, 상이한 작품으로 완성되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mode of plagiarism and adaptation in Korean films in the mid-1960s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text of the Japanese and Korean films entitled A Wife Confesses (Masumura Yasujo, 1961 and Yoo Hyun-mok, 1964). It is no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ilms is not only discussed in terms of text comparison, but is broadly interrelated to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s acceptance of Japanese culture in the early and mid-1960s and specifically to director Yoo Hyun-mok’s early directing styles. From 1960 to 1965, Korean society was creating a special phase related to the acceptance of Japanese culture as the national resistance to Japan and the curiosity and nostalgia for its culture were entangled. For instance, the Asian Film Festival hosted in Seoul, in May 1962 represents the special sentiment of the time. The Korean film A Wife Confesses which was known as an official remake of the Japanese title began with copying the Japanese original screenplay. The film exposes the nature of plagiarism controversy in the Korean film scene of the 1960s. Director Yoo Hyun-mok also set the direction to faithfully film the screenplay adapted from the original Japanese film. It is discrete, in the process, that Yoo added the audiovisual elements based on his melodramatic addressing of the time a nd a esthetic a mbition. T he t w o films by M asumura Yasujo a nd Yoo Hyun-mok started from the identical story, but their aesthetic and stylistic methodologies were completely different, which resulted in two distinct films.
목차
1. 들어가며
2. <아내는 고백한다> 리메이크 과정
3. 표절과 번안 혹은 똑같은 것과 다른 것
4.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영화의 기술적 재현으로부터 분열된 ‘어떤 것’
- 영화적 시간성
- 일한 영화 <아내는 고백한다>의 관계성 분석
- The Subject’s Absence Or Absent Subject: Re-read Kim Ki-Duk’s 3-Iron
- 메소드 로드(method road)
- 영화연구 게재논문 투고, 심사(수정), 게재확정일 외
- 패러디를 통해 본 멜 브룩스의 작품 세계
- 트랜스내셔널 시네마의 혼종성과 문화번역
- 벤야민의 아우라 개념에 대한 재해석과 영화의 역량에 관한 고찰
- 1949년의 한국영화, 그 기술적 진전 및 시대 반영의 양상들
- 아담 맥케이의 <바이스>에 나타난 재매개 현상과 디지털 가상
- 영화연구 제93호 목차
- 영상저작자의 정당한 보상을 위한 「저작권법」 개정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커피 프랜차이즈 기업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전략 연구 - 큐렌들리 마케팅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