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패러디를 통해 본 멜 브룩스의 작품 세계

이용수  3

영문명
The World of Mel Brooks’s Works in Parody: Focusing on and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이은석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93호, 5~2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글의 목적은 패러디라는 관점에서 <불타는 안장, Blazing Saddles>(1974)과<영 프랑켄슈타인, Young Frankenstein>(1974)을 분석함으로써 코미디 작가인 멜브룩스(Mel Brooks)의 작품 세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다양한 코미디 영화들은 패러디라는 효과적인 전략을 활용해 왔다. 하지만 다른 예술분야에 비해 영화(특히 코미디 영화)에서의 패러디는 단순히 웃음만을 위해 유명한 영화들을 짜깁기하는 영화로써의 평가를 받아온 것이 사실이다. 그로인해 패러디 코미디 영화에 대한 연구들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당연히 패러디 코미디 영화의 효시인 <불타는 안장>을 비롯해 연출작의 대부분을 패러디 코미디로 채우고 있는 멜 브룩스에 대한 연구는 적어도 국내에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멜 브룩스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두 편의 코미디 영화에서 패러디가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는지, 그것의 의미를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는지살펴보는 것은 패러디 코미디 영화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다시 한 번 돌아볼수 있게 만드는 동시에 우리가 잊고 있었던 한 코미디 작가를 현재에 다시 불러냄으로써 그의 위상을 재정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패러디를 원텍스트에 대한 패러디스트의 태도를 바탕으로비판적 패러디와 모방적 패러디로 나누고 그에 따라 멜 브룩스의 두 패러디 영화<불타는 안장>과 <영 프랑켄슈타인>을 각각 비판적 패러디와 모방적 패러디의형태로 나누어 살펴볼 것이다. 그것을 통해 멜 브룩스의 코미디 영화에서 패러디가 어떤 방식으로 활용되었으며 또한 어떤 의미를 관객에게 전달하는지 알아볼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world of the work of comedy director Mel Brooks by analyzing (1974) and ( 1974) from the perspective of parody. Various comedies have used an effective strategy called parody. However, parody in films (especially comedy) has been evaluated as a film that compiles famous films simply for laughter, it is true. As a result, studies on parody comedy films have not been actively conducted, and of course, studies on Mel Brooks, who fills most of the directing works with parody comedy, including the beginning of parody comedy films, are rarely conducted, at least in Korea. Therefore, I think looking at how parody is used in Mel Brooks’s two leading comedies and how it can be accepted will help us rethink the general perception of parody comedy and redefine his status by bringing back a comedy director we’ve forgotten. Therefore, in this paper, parody is divided into critical parody and imitation parody based on the parodyist’s attitude toward the original text, and accordingly, Mel Brooks’ two parody films and will be divided into critical parody and imitation parody forms, respectively. Through it, we will find out how parody was used in Mel Brooks’ comedy and what meaning it conveys to the audience.

목차

1. 서론
2. <불타는 안장> 분석
3. <영 프랑켄슈타인> 분석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석. (2022).패러디를 통해 본 멜 브룩스의 작품 세계. 영화연구, (), 5-28

MLA

이은석. "패러디를 통해 본 멜 브룩스의 작품 세계." 영화연구, (2022): 5-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