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Reinterpretation of Benjamin’s Concept of Aura and a Study on the Capabilities of Cinema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이정하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93호, 313~33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벤야민이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에서 제기한 논쟁적 개념인 아우라의 의미를 재해석하고, 이를 통해 예술적 경험 양식으로서의 영화의 역량과가치에 대한 벤야민의 주장을 새롭게 고찰하고자 한다. 벤야민은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에서 사회적 생산력의 증대에 따른 사회 발전과 예술의 기능 변화에주목하면서, 새로운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이 전통적 예술과 다른 지각적 특질을지니며 새로운 정치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사회적 변혁의양상들에 촉발된, 지각 매체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를 함축적으로 나타내는 표현이 ‘아우라의 붕괴’이다. 그런데 벤야민의 텍스트들을 폭넓게 고찰하면, 아우라는 단순히 과거 전통적 예술의 경험 양식만이 아니라, 오히려 충돌과 붕괴를 통해 새로운 창조 작업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페레의 말처럼, 변증법적 경험의 구조를 사유하도록 촉구하는, 변증법적 경험에 정합적인 변증법적 개념으로드러나는 것이다. 아우라는 이렇게 변증법적 개념으로서 영화의 충격 효과와 조응하며 변증법적 이미지의 창조를 위한 시적 원천으로서 기능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reinterprets the meaning of aura, which is a controversial concept raised by Benjamin in 「Works of Art in the Age of Technological Reproduction」, and through this, attempts to re-examine Benjamin’s claims about the capability and value of cinema as a form of artistic experience. In 「Works of Art in the Age of Technological Reproduction」, Benjamin paid attention to social development and changes in the function of art due to the increase in social productivity. claim that art in the new age of technological reproduction has different perceptual characteristics from traditional art and can perform new political functions. The expression that implicitly expresses the changes taking place in the perceptual media triggered by these aspects of social transformation is ‘aura breakdown’. However, a broad examination of Benjamin’s texts reveals that the aura is not simply a form of experience in the past traditional art, but rather participates in a new creative work through collision and collapse. As Perret puts it, it emerges as a dialectical concept consistent with dialectical experience, which urges us to think about the structure of dialectical experience. The aura thus corresponds to the impact effect of the film as a dialectical concept and functions as a poetic source for the creation of a dialectical image.
목차
1. 서론
2. 아우라의 양가성과 부정의 변증법
3. 아우라의 조락과 영화의 충격 효과
4.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영화의 기술적 재현으로부터 분열된 ‘어떤 것’
- 영화적 시간성
- 일한 영화 <아내는 고백한다>의 관계성 분석
- The Subject’s Absence Or Absent Subject: Re-read Kim Ki-Duk’s 3-Iron
- 메소드 로드(method road)
- 영화연구 게재논문 투고, 심사(수정), 게재확정일 외
- 패러디를 통해 본 멜 브룩스의 작품 세계
- 트랜스내셔널 시네마의 혼종성과 문화번역
- 벤야민의 아우라 개념에 대한 재해석과 영화의 역량에 관한 고찰
- 1949년의 한국영화, 그 기술적 진전 및 시대 반영의 양상들
- 아담 맥케이의 <바이스>에 나타난 재매개 현상과 디지털 가상
- 영화연구 제93호 목차
- 영상저작자의 정당한 보상을 위한 「저작권법」 개정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커피 프랜차이즈 기업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전략 연구 - 큐렌들리 마케팅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