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화적 시간성

이용수  6

영문명
Cinematic Temporality: Digital Culture, Regime and Form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정지연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93호, 211~24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 영화적 특정성의 주요 요소로서 ‘영화적 시간성’에 주목하였다. 영화적 시간성은 오랫동안 영화 존재론의 핵심을 구성해왔으며, 매우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왔다. 그러나 디지털 시네마가 도래하면서 영화적 시간성은 과거 필름시대와는 다소 다른 양상 또한 지니게 되었다. 특히 블록버스터 영화들 속에서 시간은 압축되거나 가속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디지털 형식 논리 속에서 더욱 용이하게 재현 가능해진다. 그러나 더욱 흥미로운 점은 시간에 대한 새로운 감각 및 경향성 속에서 후기 자본주의 체제의 지배적 논리 및 권력의메커니즘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시간에 대한 자본의 전유, 디지털 테크놀로지 체제와 형식들은 개별 영화들 속에서 우리의 감각을 재규정하고 있다. 디지털의 이러한 형식 논리는 최근 주목할 만한 몇몇 영화들(<덩케르크>(2017), <버드맨>(2014), <1917>(2020), <트윈픽스 시즌 3>(2017))속에서 독특한 미학으로 구체화된 바 있다. 이러한 작품들은 후기 자본주의 시대, 디지털 형식 논리와상동하는 자본의 논리 및 형식적 특성을 내재한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디지털시대 영화적 시간을 통제하고 배치하는 후기 자본주의와 디지털 체제, 영화의 상관성을 읽어내고자 했다. 그리고 이로부터 영화의 새로운 미학과 정치적 실천의가능성을 살피고자 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cinematic temporality as a major factor of cinematic specificity in the digital age. Cinematic temporality has long been an important aspect of cinematic ontology and cinema has also represented and constructed temporality in various ways. However, with the advent of digital era, cinematic temporality also has a somewhat different aspect from the past film era. Time tends to be compressed or accelerated, especially in blockbuster movies, which is made easier in logic of digital forms. In addition, the dominant logic of late capitalism can be found in the new senses and tendencies of the cinematic time that the digital regime constitutes. In particular, not only the appropriation of capital for time, but also digital technology systems and forms are redefining our senses through films. This formal logic of digital cinema has been embodied as a specific aesthetic in some recent notable films((2017), (2014), <1917>(2019), (2017)). These works are inherent in late capitalism ideology and formal characteristics homologous to the logic of digital forms. Therefore, this paper tri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ate capitalism, the digital regime and film which controls and arranges cinematic time in the digital age, and examines the possibility of new aesthetics and political practice of film.

목차

1. 들어가며
2. 디지털적인 시간: 형식화의 양상들
3. 자본과 디지털 체제에 의한 영화적 시간의 전유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지연. (2022).영화적 시간성. 영화연구, (), 211-246

MLA

정지연. "영화적 시간성." 영화연구, (2022): 211-2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