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앙아시아 지역을 둘러싼 권력투쟁과 함의
이용수 3
- 영문명
- Power Struggles and Implicatious on the Central Asia
- 발행기관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저자명
- 이호령
- 간행물 정보
- 『전략연구』통권 제38호, 131~15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1.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세계를 지배하려면 유라시아 지역을 지배하라는 지정학설은 고전의 일부가 된 것 같지만, 현재 중앙아시아를 둘러싸고 미국, 러시아, 중국을 비롯해 터키, 인도 등에 이르기까지 서로 각자의 영향력을 확대 하기 위해 노력을 하는 것을 보면 아직도 이 학설은 건재한 것 같다. 중앙아시아 5개국들은 구소련에 편입되어 있다가 구소련 해체라는 외부환경 덕분에 쉽게 독립은 얻었지만, 이들 국가들 대부분은 정치경제개혁의 지체로 부패와 극심한 빈곤의 문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페르가나 계곡을 중심으로 불법이주, 마약거래, 이슬람 극단주의, 소형 무기 확산, 테러 등 소위 중앙아시아 지역의 ‘연성안보위협’ 문제를 겪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요 강대국들은 중앙아시아 지역이 갖는 지정학적 위치와 석유, 천연가스 등 풍부한 지하자원의 개발가능성 때문에 다양한 원조를 제공하며 영향력 확대를 꾀하고 있다. 한편, 중앙아시아국가들의 문제와 이 지역을 둘러싼 강대국의 경쟁이 다른 지역의 안정과 발전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에서 이 지역의 문제들을 중앙아시아 지역 국가들의 내부문제로 제한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본 소고는 중앙아시아를 둘러싼 강대국들의 정책과 목적을 분석해보고 향후 중앙아시아 지역에 대한 영향력 확보를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을 제시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중앙아시아에 대한 강대국의 이익
Ⅲ.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문제
Ⅳ. 결론: 3가지 도전과 함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앙아시아 지역을 둘러싼 권력투쟁과 함의
- 미국의 21세기 원자력 정책
- China’s Increasing Naval Power: Implications for Northeast Asia
- The Strategic Environmen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U.S. Security Relationship a Japanese View
- Implications of America's Middle East Strategy and its “War on Terror” on ROK Security
- 대테러전에 관한 한국정부 및 군대의 과제
- 중공군의 한국전쟁 참전(Ⅳ)
- 현실주의 이론의 새로운 변화
- Russian Defense Transform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and its Impact on Northeast Asia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