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의 부상과 강대국 정치
이용수 14
- 영문명
- Rise of China and Great Power Politics
- 발행기관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저자명
- 김성한
- 간행물 정보
- 『전략연구』통권 제59호, 5~2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7.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중국의 부상은 경제뿐만 아니라 정치군사적 측면에서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중국의 대외전략은 미국 주도의 동아시아 국제질서에 단기적 차원에서 도전하는 모습을 가급적 삼가면서 경제발전을 통해 축적한 힘을 정치 및 군사적 영향력 확대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과연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강대국들 간의 역학관계가 중장기적으로 어떻게 전개될 지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해선 동아시아 강대국 역학구도의 최대 변수로 떠오른 중국에 대한 여타 강대국의 인식과 전략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아시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강대국들(미국, 일본, 러시아, 인도)이 단기 및 중장기적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중국에 대한 외교안보전략의 방향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들의 대 중국 외교안보전략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향후 한국의 대 중국 및 동북아 안보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 rise of China has been taking place in the economic as well as politico-military domain. China's external strategy is focused on transforming its economic capability into expanded political and military power although she refrains from challenging the US-led East Asian order. In this light, China has emerged 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for predicting the future of great power relations in Asia. It is thus necessary to find out perceptions and strategies of other great powers vis-a-vis China so that we can come up with an answer to the uncertain future of the great power relationship. Those great powers include the United States, Japan, Russia, and India. Out of the analysis on their policies toward China, we have drawn useful implications for Korea's strategy to China and other Northeast Asian countries.
목차
Ⅰ. 중국의 부상
Ⅱ. 중국의 대외정책과 동아시아
Ⅲ. 중국에 대한 주요 강대국들의 인식
Ⅳ. 강대국 정치와 한국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