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Effect of Green Logistics on Economic Growth in Sub-Saharan Africa
이용수 14
- 영문명
- The Effect of Green Logistics on Economic Growth in Sub-Saharan Africa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키렌가 살룸(Kirenga Salum) 우타이 우프라센(Utai Uprasen)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27권 제4호, 77~9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물류산업은 환경의 질을 형성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합니다. 녹색물류 관행을 채택함으로써 해로운 환경효과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행은 또한 비용절감, 에너지 절약, 경쟁력 향상과 같은 혜택을 제공합니다. 친환경 경제활동 육성에 있어 글로벌 녹색물류의 중추적 역할은 특히 경제성장의 맥락에서 논의와 분석의 중심 주제로 남아 있습니다. 이 연구는 1990년부터 2019년까지 선정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10개국에 걸쳐서 녹색물류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거시적인 차원의 탐색을 제공합니다. 이 국가들에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코트디부아르, 케냐, 부르키나파소, 카메룬, 토고, 세네갈, 가나, 나이지리아, 콩고공화국 등이 있습니다. 단기적, 장기적 효과에 대한 통찰력을 얻기 위해 패널자기회귀 분산라그(PARDL) 모델을 활용했습니다. 우리의 분석은 해외직접투자, 무역개방도, 산업화, 금융발전 등의 통제변수를 고려했습니다. 결과에서는 경제성장과 녹색물류, 산업화, 해외직접투자 등의 요인 간의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강조합니다. 금융발전은 경제성장을 위축시키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무역개방도는 경제 성장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지 못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맥락에 맞는 효과적인 녹색물류 정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길을 열었습니다.
영문 초록
The logistics sector not only contributes to economic development but also plays a significant role in influencing environmental quality. However, embracing green logistics practices can mitigate negative environmental impacts while bringing about cost savings, energy efficiency, and enhanced competitiveness. While a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impact of green logistics on economic development, most focus on developed countries. Research concerning developing countries remains limited. Consequently, this research delves into the impact of green logistics on economic growth in Sub-Saharan Africa, examining ten countries which the substantial portion of their GDP growth attributed to the evolution of travel and transportation logistics over the past three decades- South Africa, Ivory Coast, Kenya, Burkina Faso, Cameroon, Togo, Senegal, Ghana, Nigeria, and the Congo Republic - from 1990 to 2019. Utilizing the Panel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PARDL) model, we assessed both short-term and long-term effects, incorporating control variables like foreign direct investment, trade openness, industrialization, and financial development. Our findings indicate a positive link between green logistics,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growth, alongside foreign direct investment. Conversely, financial development seemed to negatively impact economic growth, while trade openness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These findings are instrumental in developing targeted green logistics policies for the Sub-Saharan African region. African governments should encourage the business community to embrace eco-friendly logistics through incentives such as subsidies, tax benefits, and specialized training programs. Yet, proactive engagement from private corporations is also required. These entities should invest in technologies, machinery, and equipment that are not only efficient but also environmentally considerat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Research methodology
Ⅳ. Empirical results
Ⅴ. Conclusion and policy recommendat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