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북한 대남전략의 분석과 전망

이용수  34

영문명
Analysis and Prospect of North Korea’s strategy to South Korea: Focusing from the 7th Congress of the WPK to Present
발행기관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저자명
한관수 송세관
간행물 정보
『전략연구』제24권 제1호(통권 제71호), 277~30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북한의 대남전략을 종합분석하고 전망하여 한국의 대응전략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북한의 대남전략의 결정요인을 전략체계, 환경 요인, 의사결정체계로 범주화 한 후 김정은의 통일과 남북관계에 대한 인식과 노선을 분석하고 전망하여 대응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방법은 주로 노동당 제7차 당대회에서 김정은이 발표한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면서 이후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3차 회의, 2017년도 신년사 발표를 거치면서 북한이 공식 발표한 내용을 전반적으로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의 대남전략은 미국과 중국 요인과 한국 및 북한 요인이 의사 결정에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대남전략의 중심에는 북한 핵문제가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북한은 향후 핵무장 고도화, 공세적 대남 도발, 그리고 위장평화 공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북한 핵무장 저지, 전방위 군사 대비, 한미동맹 강화, 실효성 있는 중국과의 관계 유지, 신 대북정책의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map out a strategy to North Korea after analyzing North Korea's strategy to South Korea and forecasting further one. The factors which affect North's strategy making were categorized; strategy system, environment, and decision making system. Based on these factors, Kim Jong-un's perception and policy line about unification and relations with South were investigated. Then, the study suggested several counter-strategies to North. For the study, Kim Jong-un's speech at the 7th Congress of the WPK was primarily analyzed along with 14th Annual Conference of the Supreme People's Congress and new year's announcement in 2017. The results show that conditions of U.S., South Korea and North Korea multiply affect North's strategy making. In particular, North's nuclear policy was shown as the main factor. It is predicted that North Korea will continue to accelerate nuclear armament, provoke South and keep disguised peace propaganda.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South Korea should force North Korea stop the nuclear armament, prepare total military defense, strengthen alliance with U.S, keep practical relations with China, and consider to establish new policy toward North.

목차

Ⅰ. 서론
Ⅱ. 북한 대남전략의 결정요인
Ⅲ. 북한 대남전략의 분석과 평가
Ⅳ. 최근 북한 대남전략의 환경 평가와 향후 전망
Ⅴ. 결론: 대응방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관수,송세관. (2017).북한 대남전략의 분석과 전망. 전략연구, 24 (1), 277-304

MLA

한관수,송세관. "북한 대남전략의 분석과 전망." 전략연구, 24.1(2017): 277-3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