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화원이 존재하는 구획실의 높이가 수평 개구부 유동과 온도 분포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4
- 영문명
- Effect of Compartment Height with Fire Source on Horizontal Vent Flow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김윤영(Yun Young Kim) 이치영(Chi You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7 No.6, 31~3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화원이 존재하는 구획실의 높이가 수평 개구부 유동과 온도 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산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구획실 높이가 1.1 m (H1.1)와 5.5 m (H5.5), 개구부 면적이 바닥 면적의 1% (HV01)와 10% (HV10), 화원의 위치가 바닥의 중앙(FSC)과 측면(FSS)인 조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HV01 조건과 HV10 조건 모두, FSC 조건에서는 H1.1조건이 H5.5 조건보다 개구부 유동의 질량 유량이 많고 속도가 빨랐다. FSS 조건의 경우, HV01 조건에서는 H5.5 조건과 H1.1 조건의 질량 유량 차이가 미미하였지만, HV10 조건에서는 H5.5 조건이 H1.1 조건보다 질량 유량이 많았다. 유동 속도는 H1.1 조건과 H5.5 조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한편, HV01 조건의 모든 화원 위치에서 H1.1 조건이 H5.5 조건보다 구획실 내 온도 분포가 높았다. HV10 조건의 경우, FSC 조건에서는 H5.5 조건이 H1.1 조건보다 구획 실 내 온도 분포가 높았고, FSS 조건에서는 반대의 경향이 관찰되었다. 화재 플룸 중심선의 온도 상승에 대해, 기존상관식은 본 전산시뮬레이션 결과를 과대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획실 내 혼합 현상이 화재 플룸 중심선의 온도 상승 경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effect of compartment height with a fire source on the horizontal vent flow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was numerically investigated. Two compartment heights were examined, namely 1.1 m (H1.1) and 5.5 m (H5.5). Horizontal vent areas were set at 1% (HV01) and 10% (HV10) of the floor area, and fire sources were positioned at the center (FSC) and side (FSS). H1.1 exhibited a larger mass flow rate and higher velocity of vent flow than H5.5 for FSC cases with HV01 and HV10. In the case of HV01 with FSS, the mass flow rates between H1.1 and H5.5 were comparable. However, in the case o f HV10 w ith F SS, H5.5 d emonstrated a larger m ass flow r ate than H 1.1. V ent flow v elocities a ppeared similar between H1.1 and H5.5 for FSS cases with both HV01 and HV10. Meanwhile, H1.1 exhibited a higher temperature distribution than H5.5 for HV01 cases with FSC and FSS. For HV10 with FSC, H5.5 showed a higher temperature distribution than H1.1. Conversely, for HV10 with FSS, the opposite trend was observed. The previous correlation overestimated the results of the present numerical simulation regarding the fire plume centerline temperature rise. It was speculated that mixing within the compartment affected the trend of fire plume centerline temperature rise.
목차
1. 서 론
2. 전산시뮬레이션 조건 및 방법
3. 전산시뮬레이션 결과
4. 결 론
후 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점화에너지가 수소-산소 예혼합화염의 초기 전파에 미치는 영향
- 재난현장출동 소방공무원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119 구급대의 교통사고 예방 및 피해 경감 방안
- 등속 튜브연소로 출구에서의 직접 샘플링 방법을 이용한 연기입자 입경분포 측정
- Chung’s Equation-XII에 의한 목재 5종의 화재위험성 지수 및 화재위험성 등급 평가
-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 내 화재가 압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MLCC 공장 클린룸의 화재시 연기확산 지연을 위한 급 배기설비 운전 시나리오별 성능 평가
- Multilayer ceramic capacitors (MLCC) 공장 클린룸의 공조환경과 연기감지기의 성능을 고려한 최적 설치위치 설정에 관한 연구
- 원전 주제어실 거주성 평가기준에 따른 피난안전성 평가
- 철도차량 객실용 미분무 소화설비의 다중 화원 화재진압성능 평가 연구
- 객체 탐지 기법 적용 YCbCr 컬러모델의 화염 영역 검출 특성에 관한 연구
- 냉동창고 환경에서의 공기흡입형 연기감지기 결로에 대한 실험적 연구
- 화원이 존재하는 구획실의 높이가 수평 개구부 유동과 온도 분포에 미치는 영향
- 석유화학플랜트 내의 시설물 화재위험 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 물류시설 가연물 종류 및 배치 형태에 따른 랙 상부 온도 특성 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7 No.6 목차
- 축소 모형 실험을 통한 복도 내 화재 시 고온 가스층 최대 온도 검토
- 광전식 연기 감지기의 반응 특성 분석을 위한 다중 산란 기반 광학 시뮬레이션 연구
- 과도상태 시뮬레이션(transient simulation)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연기 제어 성능 평가
- 스프레이형 폴리우레탄폼 시공중 발생하는 발포제의 화재 위험성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International Journal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IJFSE) Vol. 39, No. 1 Contents
- Impact of Air and N2 Atmospheres on Thermal Runaway and Gas Emissions in 21700 Lithium-Ion Batteries
- Development of a Prediction Model for Heat Release Rate of a Train Seat Based on Properties Obtained from Small- Scale Material Burning Test: Lateral Flame Spread Behavior on Seat Surface and Its Effect on Burning Behavior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