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LCC 공장 클린룸의 화재시 연기확산 지연을 위한 급 배기설비 운전 시나리오별 성능 평가
이용수 10
- 영문명
- Performance Evaluation for Operation Scenarios of Supply and Exhaust System in Delaying Smoke Spread in MLCC Factory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오찬욱(Chan-Wook Oh) 김지훈(Ji-Hun Kim) 오륜석(Ryun-Seok Oh) 최준호(Jun-Ho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7 No.6, 84~89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MLCC 공장 클린룸에 설치된 급·배기 설비로 인해 실내에 하강기류가 발생한다. 이 하강기류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화원으로부터 생성되는 열, 연기 및 독성가스 등의 연소생성물이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연기감지기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 할 우려가 있고, 연소생성물의 확산 형태에 따라 큰 인명 및 재산 피해로 이어질 위험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급·배기 설비 운영방식에 따른 연기 확산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화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델링을 실시하였으며, 모델링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실제 T.A.B. 테스트 결과를 기반으로 분석 대상지에 설치되어 있는 급·배기 설비의 성능을 구현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공조 급기 설비의 하강기류가 화원에서 발생한 연기를 천장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클린룸 설계시 공조환경과 화재 특성을 고려한 설계가 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Downdrafts are generated indoors because of the water supply and exhaust equipment installed in the clean room of the MLCC factory. In the event of a fire, this downdraft may interfere with the exposure of combustion products, such as heat, smoke, and toxic gases generated from the fire source, to the smoke detector installed on the ceiling. There is a high risk of this adversely affecting people and damaging property, depending on the diffusion of the combustion produc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moke diffus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operation methods of the supply and exhaust facilities. Modeling was performed using a fire simulation program, and the performance of the water supply and exhaust facilities installed at the analysis site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actual testing, adjusting, and balancing test results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modeling results.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downdraft from the air-conditioning supply system prevented smoke from the fire source from spreading to the ceiling.
목차
1. 서 론
2. MLCC 공장 클린룸의 공조 환경 및 화재 위험성
3. 실측 데이터 기반으로 한 공조환경 모델링
4. 클린룸의 화재시 연기확산 지연 방안 분석
5. 결 론
후 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점화에너지가 수소-산소 예혼합화염의 초기 전파에 미치는 영향
- 재난현장출동 소방공무원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119 구급대의 교통사고 예방 및 피해 경감 방안
- 등속 튜브연소로 출구에서의 직접 샘플링 방법을 이용한 연기입자 입경분포 측정
- Chung’s Equation-XII에 의한 목재 5종의 화재위험성 지수 및 화재위험성 등급 평가
-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 내 화재가 압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MLCC 공장 클린룸의 화재시 연기확산 지연을 위한 급 배기설비 운전 시나리오별 성능 평가
- Multilayer ceramic capacitors (MLCC) 공장 클린룸의 공조환경과 연기감지기의 성능을 고려한 최적 설치위치 설정에 관한 연구
- 원전 주제어실 거주성 평가기준에 따른 피난안전성 평가
- 철도차량 객실용 미분무 소화설비의 다중 화원 화재진압성능 평가 연구
- 객체 탐지 기법 적용 YCbCr 컬러모델의 화염 영역 검출 특성에 관한 연구
- 냉동창고 환경에서의 공기흡입형 연기감지기 결로에 대한 실험적 연구
- 화원이 존재하는 구획실의 높이가 수평 개구부 유동과 온도 분포에 미치는 영향
- 석유화학플랜트 내의 시설물 화재위험 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 물류시설 가연물 종류 및 배치 형태에 따른 랙 상부 온도 특성 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7 No.6 목차
- 축소 모형 실험을 통한 복도 내 화재 시 고온 가스층 최대 온도 검토
- 광전식 연기 감지기의 반응 특성 분석을 위한 다중 산란 기반 광학 시뮬레이션 연구
- 과도상태 시뮬레이션(transient simulation)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연기 제어 성능 평가
- 스프레이형 폴리우레탄폼 시공중 발생하는 발포제의 화재 위험성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E-01] 전기차동차 화재대응 솔루션을 위한 방안 연구
- [E-03] 재사용을 위한 사용후 배터리의 열폭주 특성 검토
- [E-09] YOLO 기반 전기차 배터리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