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19 구급대의 교통사고 예방 및 피해 경감 방안
이용수 63
- 영문명
- Measures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and Reduce Damages in 119 Ambulances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임재만(Jae-Man Lim) 노상균(Sang-Gyun Roh)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7 No.6, 136~145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소방청 통계에 의하면 119 구급차(이하 “구급차”라 한다)와 관련된 교통사고는 2021년에 141건이 발생하였다. 대표적인 유형은 교차로에서 적색등화에 진입한 구급차와 녹색등화에 진행한 상대방 차량이 충돌하는 것이다. 구급차의 교통사고는 구급대원뿐만 아니라 환자와 보호자, 그리고 상대방 차량에 승차한 인원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한다. 「도로교통법」상 긴급자동차인 구급차의 우선 통행 및 특례를 강화하여야 한다는 선행연구는 다수 있었다. 하지만 구급차 운전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구급대원을 대상으로 구급차 운전 중의 심리상태, 경광 등 및 사이렌 사용실태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급차와 관련된 교통사고를 예방하고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수집 및 통계분석, 전문인력의 보강, 긴급자동차 우선 신호 시스템의 확대, 시뮬레이터에 기반한 교육훈련 개발, 구급차의 안전에 관계되는 옵션 강화가 필요하다. 특히 이에 대한 정책개발 과정에 구급차 운전자의 심리상태와 운전패턴을 반영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In 2021, the National Fire Agency recorded 141 traffic accidents involving 119 ambulances. A common scenario involves collisions at intersections, where ambulances often running into a red light intersect with vehicles proceeding with a green light. These accidents entail special attention because of the potential threats they pose not only to emergency medical service (EMS) personnel but also to the safety of patients and other vehicles on the road. Many studies have emphasized that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priority rights of ambulance and the duty of other vehicles to yield. However, research addressing challenges faced by ambulance drivers has remained insufficien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EMS personnel about their psychological status while driving an ambulance and the use of warning lights and sirens. Prevention of traffic accidents related to 119 ambulances entails data collec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reinforcement of professionals, expansion of emergency vehicle priority signaling systems, and development of simulator-based training programs. Policies that do not reflect ambulance drivers’ psychological state and driving patterns might turn out to be ineffective.
목차
1. 서 론
2. 본 론
3. 논의 및 제언
4.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점화에너지가 수소-산소 예혼합화염의 초기 전파에 미치는 영향
- 재난현장출동 소방공무원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119 구급대의 교통사고 예방 및 피해 경감 방안
- 등속 튜브연소로 출구에서의 직접 샘플링 방법을 이용한 연기입자 입경분포 측정
- Chung’s Equation-XII에 의한 목재 5종의 화재위험성 지수 및 화재위험성 등급 평가
-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 내 화재가 압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MLCC 공장 클린룸의 화재시 연기확산 지연을 위한 급 배기설비 운전 시나리오별 성능 평가
- Multilayer ceramic capacitors (MLCC) 공장 클린룸의 공조환경과 연기감지기의 성능을 고려한 최적 설치위치 설정에 관한 연구
- 원전 주제어실 거주성 평가기준에 따른 피난안전성 평가
- 철도차량 객실용 미분무 소화설비의 다중 화원 화재진압성능 평가 연구
- 객체 탐지 기법 적용 YCbCr 컬러모델의 화염 영역 검출 특성에 관한 연구
- 냉동창고 환경에서의 공기흡입형 연기감지기 결로에 대한 실험적 연구
- 화원이 존재하는 구획실의 높이가 수평 개구부 유동과 온도 분포에 미치는 영향
- 석유화학플랜트 내의 시설물 화재위험 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 물류시설 가연물 종류 및 배치 형태에 따른 랙 상부 온도 특성 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7 No.6 목차
- 축소 모형 실험을 통한 복도 내 화재 시 고온 가스층 최대 온도 검토
- 광전식 연기 감지기의 반응 특성 분석을 위한 다중 산란 기반 광학 시뮬레이션 연구
- 과도상태 시뮬레이션(transient simulation)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연기 제어 성능 평가
- 스프레이형 폴리우레탄폼 시공중 발생하는 발포제의 화재 위험성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International Journal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IJFSE) Vol. 39, No. 1 Contents
- Impact of Air and N2 Atmospheres on Thermal Runaway and Gas Emissions in 21700 Lithium-Ion Batteries
- Development of a Prediction Model for Heat Release Rate of a Train Seat Based on Properties Obtained from Small- Scale Material Burning Test: Lateral Flame Spread Behavior on Seat Surface and Its Effect on Burning Behavior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