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등속 튜브연소로 출구에서의 직접 샘플링 방법을 이용한 연기입자 입경분포 측정
이용수 6
- 영문명
- Measurement of the Size Distribution of Smoke Particles through Direct Sampling at the Exit of a Steady-State Tube Furnace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구재학(Jaehark Goo)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7 No.6, 126~135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화재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연기 입자의 크기 분포는 화재 현장에서 발생하는 연기로 인한 거주자 및 소방관의 장단기 인명 피해의 주요 원인인 폐침전뿐만 아니라 화재 감지와 관련하여 소방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현재 연소 생성물의 성분, 농도 등의 특성은 ISO/TS 19700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방법은 가스상 물질에 주로 사용되며 측정의 어려움으로 이 방법을 이용한 입자상 물질에 대한 연구 결과는 많지 않고 그 결과는 연구자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인다. 입자상 물질의 특성 중 대표적인 것이 크기분포이며 이 측정값이 연소로 출구에서의 실제 분포와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로서 중요한 것 중 하나는 냉각, 희석을 위해 설치된 혼합상자에서 입자의 충돌, 온도 변화, 체류시간 등의 인자에 의해서 이 크기분포 특성이 왜곡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ISO/TS 19700 방법에 명시된 등속 튜브연소로 출구에서의 혼합상자를 직접 샘플링 방법으로 대체함으로써 혼합상자를 사용하는 경우와 직접 샘플링하는 경우의 입경분포 차이를 밝히고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 온도 및 당량비 변화에 따른 연소조건에서 발생한 연기 입자를 등속연소로 출구에서 직접 샘플링한 후 2단 희석장치를 거쳐 정전저압임팩터로 실시간 입경분포를 측정함으로써 혼합상자로 인한 입자 크기분포 왜곡을 최소화하였다.
영문 초록
The size distribution of smoke particles, influenced by varying fire conditions, constitutes a significant research focus in the firefighting domain concerning fire detection and the impact on lung deposition which is a major contributor to both short- and long-term casualties among residents and firefighters. Currently, the ISO/TS 19700 method is commonly employed to measure characteristics of combustion products, including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primarily for gaseous substances. However, due to measurement challenges, limited research results exist on particulate substances using this method, and outcomes vary significantly among researchers.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which i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erials is crucial factor leading to discrepancies in measurements at the combustion furnace outlet. This distortion is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particle collision, temperature changes, and residence time in the mixing chamber installed for cooling and dilution. This study unveils the disparity in particle size distribution between using a mixing chamber and direct sampling. A solution is proposed by replacing the mixing chamber at the outlet of the steady-state tube furnace specified in the existing ISO/TS 19700 method with a direct sampling approach. Smoke particles generated under combustion conditions at various temperatures and equivalence ratios were directly sampled at the furnace exit. These samples underwent a two-stage dilution process, and the real-time particle size distribution was measured using an electrostatic low-pressure impactor. This approach minimizes distortion of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attributable to the mixing chamber.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 론
후 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점화에너지가 수소-산소 예혼합화염의 초기 전파에 미치는 영향
- 재난현장출동 소방공무원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119 구급대의 교통사고 예방 및 피해 경감 방안
- 등속 튜브연소로 출구에서의 직접 샘플링 방법을 이용한 연기입자 입경분포 측정
- Chung’s Equation-XII에 의한 목재 5종의 화재위험성 지수 및 화재위험성 등급 평가
-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 내 화재가 압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MLCC 공장 클린룸의 화재시 연기확산 지연을 위한 급 배기설비 운전 시나리오별 성능 평가
- Multilayer ceramic capacitors (MLCC) 공장 클린룸의 공조환경과 연기감지기의 성능을 고려한 최적 설치위치 설정에 관한 연구
- 원전 주제어실 거주성 평가기준에 따른 피난안전성 평가
- 철도차량 객실용 미분무 소화설비의 다중 화원 화재진압성능 평가 연구
- 객체 탐지 기법 적용 YCbCr 컬러모델의 화염 영역 검출 특성에 관한 연구
- 냉동창고 환경에서의 공기흡입형 연기감지기 결로에 대한 실험적 연구
- 화원이 존재하는 구획실의 높이가 수평 개구부 유동과 온도 분포에 미치는 영향
- 석유화학플랜트 내의 시설물 화재위험 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 물류시설 가연물 종류 및 배치 형태에 따른 랙 상부 온도 특성 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7 No.6 목차
- 축소 모형 실험을 통한 복도 내 화재 시 고온 가스층 최대 온도 검토
- 광전식 연기 감지기의 반응 특성 분석을 위한 다중 산란 기반 광학 시뮬레이션 연구
- 과도상태 시뮬레이션(transient simulation)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연기 제어 성능 평가
- 스프레이형 폴리우레탄폼 시공중 발생하는 발포제의 화재 위험성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International Journal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IJFSE) Vol. 39, No. 1 Contents
- Impact of Air and N2 Atmospheres on Thermal Runaway and Gas Emissions in 21700 Lithium-Ion Batteries
- Development of a Prediction Model for Heat Release Rate of a Train Seat Based on Properties Obtained from Small- Scale Material Burning Test: Lateral Flame Spread Behavior on Seat Surface and Its Effect on Burning Behavior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