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경험
이용수 3
- 영문명
-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Blended Learning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박귀조 김자경 서주영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5권 제2호, 157~18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경험과 성공적인 블렌디드 러닝 운영 시 필요한 지원요구사항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B시 소재 특수학급이 있는 유치원 및 특수학교에 재직하고 있으며, 블렌디드 러닝 운영 경험이 있는 유아특수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내용은 개방형 코딩을 통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블렌디드 러닝 운영의 어려움’, ‘블렌디드 러닝 운영을 위한 노력’, ‘블렌디드 러닝 운영의 효과’, ‘블렌디드 러닝 운영 시 고려할 점’, ‘블렌디드 러닝 운영을 위한 지원’, ‘가정과의 연계를 위한 지원’의 총 6개의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19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유아특수교육현장에서 내실 있는 블렌디드 러닝 실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blended learning and to identify the support requirements necessary for successful operation of blended learning. Method: Six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mployed at special education schools located in B city who had experience with blended learning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m. The interview content was analyzed qualitatively using an open coding method. Results: Based on the interviews, six core categories were identified as follows: ‘Challenges in operating blended learning', 'Efforts for operating blended learning', 'Effects of blended learning', 'Considerations for operating blended learning', 'Support for operating blended learning', and 'Support for home-school collaboration', and a total of 19 subcategories were derived within these six core categories.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blended learning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각적 사고 전략과 스토리 맵을 활용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가 복합의사소통장애 중학생의 의미관계와 어휘습득에 미치는 효과
- 자폐성장애 아동의 감정 어휘 사용 능력 향상을 위한 카툰-스크립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스마트 환경에서의 ASD 조기진단도구의 타당화 연구
- Construct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Sentiments, Attitudes, and Concerns About Inclusive Education Revised (SACIE-R) Scale for Korean Pre-Service Teachers
-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경험
- 특수교육대상학생 정보통신활용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실과의 개정 방향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