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실과의 개정 방향 탐색
이용수 3
- 영문명
- Exploring the Direction of Revision for the Practical Art of 2022 Revised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박영근 이권재 송승민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5권 제2호, 83~11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여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실과 교과의 개정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실과 교과에 대한 인식과 개정 방향에 대해 특수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결과를 지속적 비교 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실과 개정 방향 탐색을 위한 범주는 크게 실과 내용 체계의 재구조화, 교과와 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 설계로 나타났다. 실과 내용 체계의 재구조화에서는 의식주 중심의 가정생활, 작업활동과 정보통신의 기술정보, 인성 역량을 반영한 생명환경, 직업 탐색 및 교육전환으로써의 진로 인식 이라는 하위 주제가 나타났고, 교과와 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 설계 범주는 크게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장애 학생 지도, 노작 중심의 실습 교육, 교과간 연계 및 경험 중시 라는 하위 주제가 나타났다. 결론: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실과의 개정 방향 탐색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revision for the practical art of 2022 revised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by reflecting the needs in special education. Method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on perceptions of the practical art of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revisi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y a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The categories for finding the direction of revision of the practical art of 2022 revised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largely consisted of restructuring the practical art curriculum and designing teaching and learning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other subjects and students. In the category of restructuring the practical art curriculum, sub-themes, such as ‘family life centered on clothing, food, and shelter,’ ‘work activities and information & communication,’ ‘living environment including personality competency,’ and ‘career recognition as job search and educational transition’ appeared. In the category of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in consideration of other subjects and student characteristics, sub-themes, such as ‘guidanc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flecting social needs,’ ‘practice-oriented hands-on education,’ and ‘linkage between subjects and emphasis on experience’ appear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 discussion on the direction of revision for the practical art of 2022 revised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was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각적 사고 전략과 스토리 맵을 활용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가 복합의사소통장애 중학생의 의미관계와 어휘습득에 미치는 효과
- 자폐성장애 아동의 감정 어휘 사용 능력 향상을 위한 카툰-스크립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스마트 환경에서의 ASD 조기진단도구의 타당화 연구
- Construct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Sentiments, Attitudes, and Concerns About Inclusive Education Revised (SACIE-R) Scale for Korean Pre-Service Teachers
-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경험
- 특수교육대상학생 정보통신활용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실과의 개정 방향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