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중 한국인 고등학생의 어휘크기와 깊이
이용수 0
- 영문명
- The size and depth of vocabulary knowledge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China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최지영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73호, 395~42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size and depth of the vocabulary knowledge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t Korean International School in Beijing. For this purpose, vocabulary size test (VLT) and vocabulary depth test (WAT) were employed to measure students’ size and depth of vocabulary knowledge respectively. A total of twenty-three Korean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in Beijing and twenty-seven public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ook the two vocabulary tests. A descriptive statistics shows that the vocabulary size of the Korean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is 25.4, and the vocabulary depth score is 23.3 out of 30. The mean score of VLT and WAT were lower than public high school students’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rresponding means. A correlation analysis shows that the scores of VLT, the scores of WAT, the school grade of Korean language, Chinese and English proficiency level were highly correlated. Of the factor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sidency and cognates were less pronounced and possibly statistically insignificant but the conditions of Korean language exposure in school was found can be the predictor of students’ vocabulary knowledge.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e vocabulary size and depth are both important factors to explain Korea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proficiency level of second and third language thus researchers need to consider investing more time about vocabulary development of bilinguals or trilinguals in this fiel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연변 조선족 대학생의 3중 어휘 표상과 처리
- 모바일 기반 교양 한국어 말하기 평가 방안
- 재중 한국인 고등학생의 어휘크기와 깊이
- 한국과 호주의 이중언어 교육정책 비교
- 한국어 교재의 어휘 제시 양상에 대한 연구
- 한국어로 진행되는 대학 강의에서 외국인 유학생이 느끼는 불안 연구
-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습 동기, 불안 및 문화적응 간의 상관관계 연구
- 한국어 학습 환경에 따른 듣기 불안 및 듣기 전략 사용 양상 연구
- 태국 중등학교 한국어 교과서 개발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 유창성 연구
- 심화기 단계 한국어 경력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 경험과 인식
- 한 ․ 중 동형어의 쓰임 異同 연구
- 문항반응이론을 활용한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문항 및 채점자 특성 분석
- 프랑스어 관용표현을 활용한 언어ꞏ문화 통합교육 방안 모색
- 다문화 배경 유아를 위한 언어교육 방법 모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