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심화기 단계 한국어 경력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 경험과 인식
이용수 18
- 영문명
-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teaching professionalism for experienced Korean teachers at in-depth period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이선영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73호, 239~26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Korean teacher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and to analyze the findings to seek an approach to take in re-educating these subjects. Especially, this study aimed to focus on the factor of ‘teaching professionalism’ which is a mandatory aspect required for Korean teachers to ensure an effective management of the lectures. In order to do this, we proceeded with depth interview on 4 teachers with more than 10 years of working experience in Korean Education Institution affiliated to local universities.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three categories; experience in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development of teaching professionalism in the past, self-analysis on current teaching professionalism, expectations and demand on development of teaching professionalism in future. The main facts evaluated from these interviews are as following. First, the teachers had been able to enhance the development of through teacher training organized by education institution earlier in their career. Second, teachers understand that their teaching professionalism is not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earlier stage of their career. Third, the teachers did not have a strong belief that their teaching professionalism will significantly improve but they all had high expectations and demands on re-education for their teaching professionalism development. The fourth chapter of this study suggests possible solutions for developing teaching professionalism for experienced Korean teachers at in-depth period based on the findings from depth interviews and divides these solutions into three different levels; individual teacher, educational institution, and governmental institution.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 및 내용
4. 결과 분석 및 해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연변 조선족 대학생의 3중 어휘 표상과 처리
- 모바일 기반 교양 한국어 말하기 평가 방안
- 재중 한국인 고등학생의 어휘크기와 깊이
- 한국과 호주의 이중언어 교육정책 비교
- 한국어 교재의 어휘 제시 양상에 대한 연구
- 한국어로 진행되는 대학 강의에서 외국인 유학생이 느끼는 불안 연구
-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습 동기, 불안 및 문화적응 간의 상관관계 연구
- 한국어 학습 환경에 따른 듣기 불안 및 듣기 전략 사용 양상 연구
- 태국 중등학교 한국어 교과서 개발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 유창성 연구
- 심화기 단계 한국어 경력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 경험과 인식
- 한 ․ 중 동형어의 쓰임 異同 연구
- 문항반응이론을 활용한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문항 및 채점자 특성 분석
- 프랑스어 관용표현을 활용한 언어ꞏ문화 통합교육 방안 모색
- 다문화 배경 유아를 위한 언어교육 방법 모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