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양영어 글쓰기 수업과 학습자 견해 분석
이용수 75
- 영문명
- A Study on the English Writing Class and Learners’ Opinion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허선영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0호, 627~63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교양영어 수업에서 다양한 활동을 통해 글쓰기를 한 후, 학습자에게 영어 글쓰기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교양영어 글쓰기 수업에 도움이 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참여자는 전공이 다른 다섯 분반의 학생 중 총 99명으로, 이들의 자발적으로 참여한 설문 조사 응답을 연구의 기초로 한다. 응답자는 한 학기 동안 개별적 글쓰기, 동료 피드백, 협력적 글쓰기 등 세 가지 활동을 수행한 후, 글쓰기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글쓰기 활동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가장 유용한 글쓰기 활동과 이에 대한 그들의 의견을 분석하였다.
결과 교양영어 글쓰기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28을 나타냈으며, 글쓰기 활동 수행에 대한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02를 나타냈다. 글쓰기 활동 유용성과 관련하여, 남학생은 협력적 글쓰기 활동을, 여학생은 동료 피드백을 가장 유용하다고 응답하였다. 전공별로는 전공별로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었으나, 전체적으로는 협력적 글쓰기 활동이 가장 유용하다고 응답하였다. 구체적인 의견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개인적으로 글을 쓰는 활동에 비해 타인의 글을 읽거나 타인과 의견을 교류하면서 함께 글을 써가는 활동이 자신의 글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결론 교양영어 글쓰기 교육은 세계화의 시대에 더욱 요구되나, 교수자와 학습자의 글쓰기 수업에 대한 어려움으로 그 중요성에 비해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실제 학습자의 견해는 글쓰기 수업에 대해 만족하고, 다양한 글쓰기 활동을 통해 자신의 영어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견해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글쓰기 수업은 더욱 유연하고 다양한 글쓰기 활동을 통해 학습자에게 유용한 글쓰기 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not only recognition of Englisn writign for learners but also val-uable solution for liberal arts English writing classes. For this end, this research implemented English writing classes with three different activities during one semester and analyzed the result of employed questionnaire after classes.
Methods This research was based on the responsest of a total of 99 college freshmen with different majors who volutarily answered the questionnaire. All respondents from different majors took the same formatted writing class which consisted of basic writing lessons and three different writing activities such as individual writing, peer feedack, and collaborative writing. After completing the course, they responde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English writing classes and the writing activities, and their opinions about them.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the satisfaction of the English writing class was 4.28 out of 5, that of writing activities was 4.02 out of 5. While the most useful activity for male learners was collaborative writing, that for female learners was peer feedback. According the major, the pattern was various, but collabo-rative writing was responded as the most useful one by overall opinions. The results implied that peer feedback or collaborative writing was better than individual writing because learners could review their writing objectively by other’s opinion on their writing and it was very helpful.
Conclusions Although the need of English writing was paced to the rapid globalization era, the research of writing class was not enough due to the difficulties from both learners and teachers. Learners, however, showed that how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English writing class and its activities. In addition, they responded that the English writing class fostered their English language abilities. The English writing class, therefore, should provide more helpful one through attempt of various and flexible writing activ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20호 목차
- 에듀테크를 통한 고등학교 미술교과의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적용 사례연구
- 정사각형 칠교판으로 만들 수 없는 볼록다각형에 대한 고찰
- 50세 이상 성인학습자의 박사과정 학습 경험, 학습 동기, 학습 실천의 의미
- 랜덤포레스트(Random Forest)를 활용한 초·중·고등학생의 정보역량 영향요인 탐색
- 유아교사가 인식한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의 저해요인 탐색
- 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 회복탄력성, 비판적 사고성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교육을 위한 현대시의 문화 요소 분석
- 20년 이상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부부의 부부애착과 결혼안정성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의 매개효과
- 영유아 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 위험감수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가 유아의 신체활동태도에 미치는 영향
- 농어촌 소규모 통합운영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사례 분석 및 개선 방안
- 외국인 유학생의 발표문 구성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Psychological Resilience on Career Decision-making Anxiety of Chinese Normal University Graduating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Coping Styles
-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청소년의 사회 참여 활동 현황 분석
- 생애 첫 부모가 되는 초보 부모를 위한 교육내용 탐색
- 간호대학생의 교수 효율성, 동료 돌봄 행위와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관계
- 유아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어머니의 상호작용행동이 영아의 상호작용행동과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 BK21사업 참여를 통한 대학원생의 플로리싱(Flourishing) 경험에 대한 탐구
- 대학생의 불안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상담과정에서 상담자와 내담자 간 언어변화
- 컨템포러리 댄스에 대한 무용전공 대학생의 고정된 마인드셋과 동기조절, 연습참여 간의 관계
- 중학생의 학습자 주도성 수준 및 영향요인 탐색
- 한국어와 역사문화를 가르치는 태국 교수의 실천적 삶의 이해
- 다관점 디브리핑 적용 하이브리드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 예비교사의 안전 역량 강화
- 경기도교육청의 IB 도입 현황 및 과제 탐색
- 컴퓨터 기반 학업성취도 평가 도입에 따른 수학 평가 문항의 양호도 개선 가능성 탐색
- 교양영어 글쓰기 수업과 학습자 견해 분석
- 대학생의 진로 자기의심과 정서지능이 삶의 만족과 진로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어머니의 기질 및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 Adolescents’ Problematic Smartphone Use and Depressive Symptoms: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Parenting Styles on Self-Esteem
-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자기효능감, 임상실습스트레스와의 관계
- 특수대학원 재학생의 학업지속의향과 영향요인
- 임상간호사의 공감역량과 회복탄력성, 자기자비, 환자중심간호에 관한 연구
- 한국 여성 직업훈련정책의 변천과정 연구
- 마인크래프트를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부모-자녀 결합형태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업적 그릿과 긍정심리자본의 중다매개효과
- 아동의 그릿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을 위한 플립러닝을 활용한 맞춤형 학습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축구 코치의 코치 입문 경험에 관한 연구
- 미술 활동을 통한 상상 표현에서의 정서적 목표 설정에 관한연구
- 부모의 성취압력이 아동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광주전남 지역혁신(iU-GJ) 공유대학 참여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주짓수 학습자와 비학습자의 한팔업어치기 동작에 대한 근활성도 비교분석
- 스캐폴딩 기반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예비교사의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아버지 사별 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가족건강성과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
- 영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의사결정참여의 매개와 조절효과
- 대학생 영어 학습자들의 세계시민의식과 만국공용어로서의 영어(ELF) 인식
- K-MOOC 인식과 교수실재감 및 대학생활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와 인터넷 과의존
- 보육실습기관 교사 상호작용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교육환경과 감정노동 및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
- 시민교육 관점에서 본 교권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준비를 위한 임상실습 교육 고찰
- 국제보건 역량 증진을 위한 해외간호연수봉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간호학 실습교과목의 간호역량, 실습교육방법, 교수법 관련 문헌고찰
- 보육교사의 그릿 군집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차이
- IoT 기술의 사회복지적 활용을 위한 서비스 러닝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