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애 첫 부모가 되는 초보 부모를 위한 교육내용 탐색
이용수 217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Educational Contents for New Par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황옥경 김상림 명준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0호, 291~30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생애 최초로 부모가 되는 초보 부모를 위한 교육내용을 탐색하여, 초보부모 대상 교육자료가 갖추어야 할 핵심내용 범주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2013년 1월부터 2023년 1월까지 정부 부처, 대학, 그리고 공공의료기관에서 개발하여 보급한 영유아 대상 국내외 부모교육자료 총 22종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Azar & Cote(2002)의 역량요소 근거에 따라 지식, 기술, 태도를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생애 최초 부모가 되는 초보 부모 대상 교육자료가 갖추어야 할 내용 범주를 도출하였으며,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국내·외 부모교육 자료는 공통적으로 ‘지식’에 해당하는 주제를 가장 큰 비중으로 다루고 있었으며, ‘태도’와 관련한 내용을 가장 적은 비중으로 다루고 있었다. ‘지식’과 관련하여, 국내 부모 교육자료의 내용이 출산 및 육아 관련 정책에 관한 정보제공에 비중을 두는 반면, 국외 부모 교육자료의 내용은 출산 직후 부모의 혼란을 예방할 수 있는 지식 제공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기술’과 관련하여 국내 부모 교육자료의 내용은 ‘수유, 수면, 울음 등’ 의 양육기술들을 개괄적으로 다루고 있는 반면에, 국외 부모 교육자료의 내용은 발달영역에 따라 월령별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양육기술 팁을 제공하고 있었다. 셋째, ‘태도’와 관련하여, 국내외 자료 모두 양육 스트레스, 출산 후 우울감 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었는데, 국외 부모 교육자료 내용의 경우, 부모가 육아의 조급함을 버리고 자녀와의 건강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었다.
결론 최종 도출된 초보 부모 대상 부모교육 내용 범주는 4개 범주, 10개 주제로 구성되었다. 4개 범주는 1) 부모 첫걸음, 임신과 출산, 2) 생후 1세, 아기의 놀라운 역량, 3) 부모 1년, 유능한 부모되기 4) 육아, 슬로우 다운이다. 이는 초보 부모의 출산 후 양육의 혼돈을 줄이고 부모로서 역량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우리 사회의 긍정적인 양육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propose content categories of educational materials to strengthen the competencies of new parents who become parents for the first-time in their lives.
Methods To this end, a total of 22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rent education materials developed and dis-seminated by government departments, universities, and public medical institutions from January 2013 to January 2023 were analyzed. The materials were analyzed based on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ccording to Azar and Cote’s theory(2002).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content categories for new parents educational materials, and verified their validity.
Results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rent education materials, ‘knowledge’ related-content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and ‘attitude’-related content accounted for the smallest proportion. Regarding “knowledge,” domestic parent education focused on providing childbirth and childcare policy information, while international education focused on knowledge that could prevent parental confusion immediately after childbirth. Regarding ‘skills’, the domestic education content outlined the skills of ‘feeding, sleeping, etc.’, while the interna-tional content provided specific parenting skills tips for each month. With regard to ‘attitude’,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education contents deal with stress management and depression after childbirth, and in the case of international education content, it was intended to help parents slow down and have healthy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Conclusions The proposed category of new parent education content consisted of 4 categories and 10 topics. The four categories are: 1) parenthood, pregnancy and childbirth, 2) 1 year of age, baby's incredible capabilities, 3) 1 year of parenthood, becoming a competent parent, and 4) parenting, slow down. This will help reduce the con-fusion of postnatal parenting for new parents and improve their competence as parents, and it will contribute to creating a positive parenting environment in our socie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20호 목차
- 에듀테크를 통한 고등학교 미술교과의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적용 사례연구
- 정사각형 칠교판으로 만들 수 없는 볼록다각형에 대한 고찰
- 50세 이상 성인학습자의 박사과정 학습 경험, 학습 동기, 학습 실천의 의미
- 랜덤포레스트(Random Forest)를 활용한 초·중·고등학생의 정보역량 영향요인 탐색
- 유아교사가 인식한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의 저해요인 탐색
- 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 회복탄력성, 비판적 사고성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교육을 위한 현대시의 문화 요소 분석
- 20년 이상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부부의 부부애착과 결혼안정성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의 매개효과
- 영유아 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 위험감수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가 유아의 신체활동태도에 미치는 영향
- 농어촌 소규모 통합운영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사례 분석 및 개선 방안
- 외국인 유학생의 발표문 구성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Psychological Resilience on Career Decision-making Anxiety of Chinese Normal University Graduating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Coping Styles
-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청소년의 사회 참여 활동 현황 분석
- 생애 첫 부모가 되는 초보 부모를 위한 교육내용 탐색
- 간호대학생의 교수 효율성, 동료 돌봄 행위와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관계
- 유아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어머니의 상호작용행동이 영아의 상호작용행동과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 BK21사업 참여를 통한 대학원생의 플로리싱(Flourishing) 경험에 대한 탐구
- 대학생의 불안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상담과정에서 상담자와 내담자 간 언어변화
- 컨템포러리 댄스에 대한 무용전공 대학생의 고정된 마인드셋과 동기조절, 연습참여 간의 관계
- 중학생의 학습자 주도성 수준 및 영향요인 탐색
- 한국어와 역사문화를 가르치는 태국 교수의 실천적 삶의 이해
- 다관점 디브리핑 적용 하이브리드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 예비교사의 안전 역량 강화
- 경기도교육청의 IB 도입 현황 및 과제 탐색
- 컴퓨터 기반 학업성취도 평가 도입에 따른 수학 평가 문항의 양호도 개선 가능성 탐색
- 교양영어 글쓰기 수업과 학습자 견해 분석
- 대학생의 진로 자기의심과 정서지능이 삶의 만족과 진로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어머니의 기질 및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 Adolescents’ Problematic Smartphone Use and Depressive Symptoms: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Parenting Styles on Self-Esteem
-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자기효능감, 임상실습스트레스와의 관계
- 특수대학원 재학생의 학업지속의향과 영향요인
- 임상간호사의 공감역량과 회복탄력성, 자기자비, 환자중심간호에 관한 연구
- 한국 여성 직업훈련정책의 변천과정 연구
- 마인크래프트를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부모-자녀 결합형태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업적 그릿과 긍정심리자본의 중다매개효과
- 아동의 그릿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을 위한 플립러닝을 활용한 맞춤형 학습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축구 코치의 코치 입문 경험에 관한 연구
- 미술 활동을 통한 상상 표현에서의 정서적 목표 설정에 관한연구
- 부모의 성취압력이 아동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광주전남 지역혁신(iU-GJ) 공유대학 참여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주짓수 학습자와 비학습자의 한팔업어치기 동작에 대한 근활성도 비교분석
- 스캐폴딩 기반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예비교사의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아버지 사별 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가족건강성과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
- 영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의사결정참여의 매개와 조절효과
- 대학생 영어 학습자들의 세계시민의식과 만국공용어로서의 영어(ELF) 인식
- K-MOOC 인식과 교수실재감 및 대학생활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와 인터넷 과의존
- 보육실습기관 교사 상호작용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교육환경과 감정노동 및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
- 시민교육 관점에서 본 교권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준비를 위한 임상실습 교육 고찰
- 국제보건 역량 증진을 위한 해외간호연수봉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간호학 실습교과목의 간호역량, 실습교육방법, 교수법 관련 문헌고찰
- 보육교사의 그릿 군집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차이
- IoT 기술의 사회복지적 활용을 위한 서비스 러닝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