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Lasting effects of the Korean community schools on American college student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motivation, and attitudes

이용수  10

영문명
한글학교 교육이 미국 대학 학습자의 한국어 숙달도 및 학습 동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발행기관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저자명
허소린 최윤화
간행물 정보
『한국어교육』26권 3호, 287~31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인지역사회학교 또는 한글학교는 미국 정규 학교 내 열악한 한국어 교육 상황을 극복하고자 1970년대 후반 설립되기 시작한 이래, 한인 아동 및 청소년들에게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고 한국 문화를 전수하는데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해 왔다. 현재 미국 내 총 960여개의 한글학교에서 51,000명 이상의 학생들이 한국어 및 문화를 습득하고 있다. 하지만 한글학교 교육이 학생들의 한국어 발달 및 문화 습득에 효과적일 것이라는 통상적인 믿음과는 달리, 한인 학교가 학생들의 한국어 숙달도 및 정의적인 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 대학 한국어 학습자 106명을 대상으로, 한글학교 교육이 대학생 학습자들의 한국어 숙달도 및 학습 동기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 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 한글학교에서 한국어 교육을 받은 학습자들은 그렇지 않은 학습자들과 비교하여 볼 때 한국어 숙달도 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한국어를 배우는 동기 및 학습 태도에 있어서도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한글학교 출신 학습자들은 그렇지 않은 학습자들에 비해 반편성 시험 결과 고급반에 배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자기 평가에서도 모든 영역에서 한국의 숙달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하였다. 이를 근거로 본고에서는 한글학교의 중요성과 효과에 대한 인식 재고와 함께 체계적인 지원 강화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한편 본 연구가 한국어 교육에 미치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1. Introduction
2. Background
3. Research Questions
4. Methods
5. Results
6. Discussion
7. Closing Remark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소린,최윤화. (2015).Lasting effects of the Korean community schools on American college student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motivation, and attitudes. 한국어교육, 26 (3), 287-318

MLA

허소린,최윤화. "Lasting effects of the Korean community schools on American college student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motivation, and attitudes." 한국어교육, 26.3(2015): 287-3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