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내용중심 한국어교육과정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이용수 92
- 영문명
- Principles of Content-Based Language Teaching: Preliminary Inquiries Into Its Effectiveness in Teach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정희 김지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14권 1호, 211~23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s part of an ongoing research on effective approaches to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KSL), this study offers a brief overview of some past and present key methods in second/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how they paved a path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more wholistic approach, namely the CBLT (Content-Based Language Teaching) approach to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Core benefits of the CBLT approach in terms of optimal input, the power of reading, and cognitive development are discussed. Furthermore, several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 CBLT approach are highlighted to identify some important factors that influence and support language learners acquisition of the target language. The latter part of this paper introduces a sample model of a real Korean as a Second Language classroom where learners are supported with the CBLT principles for optimal learning. The model shows a week by week schedule of a content-based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by which learners can acquire language in a natural, meaningful, purposeful and effective manner within an abundant supply of wholistic methods and resources. Further study will continue to elaborate on the model as it is being conducted in a real-life setting. Detailed inquiries into the actual benefits of the CBLT approach on KSL education will be conducted to deepen our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bout the feasibility of the CBLT approach on KSL education respectively and on language education in general.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내용중심 교육과정의 개념 및 구성 요건
4. 내용중심 한국어 수업의 구성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회언어학적 및 전략적 말하기 능력 배양을 위한 담화분석 방법의 적용
- 문학을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 방법
- 문화교육과 한국어교육
- 한국 시 교육의 실제
- 비언어적 행위 관련 한국어 관용표현 교육 연구
-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적 논의
- Analysis of a KFL learner`s spoken performance variation
- 언어학습 교재의 시각디자인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 내용중심 한국어교육과정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의 양태 표현 연구
- 일본인과 중국인의 한국어 억양
- 한국어교육에서 시간 표현 요소의 문법적 기술 방법 연구
- The Effects of Word Clustering on L2 Korean Vocabulary Learning
- 한국어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사례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의 중간언어와 오류 분석
-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