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知識에 대한 構造主義的 觀點과 수학에서의 ‘知識의 構造’
이용수 6
- 영문명
- Structuralist view of Knowledge and the Structure of Knowledge in Mathematic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임재훈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8권 1호, 365~38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8.07.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tructualist view distinguishes structure(reality) from phenomenon(appearance). Phenomenon is the outside aspect of structure and structure is the inside aspect of phenomenon. From the structualist view, the knowledge could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 appearance of knowledge(the outside aspect of knowledge) and the structure of knowledge(the inside aspect of knowledge). Structualist view advices teachers to understand knowledge more totally from the inside-outside viewpoint, and not to teach mere the one aspect of knowledge, especially the outside aspect of knowledge, that is, the written expressions in textbook, but to teach the inside and outside aspects of knowledge totally. In the history of mathematics education, the attempts to teach the structure of knowledge were flourishing in the period of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New Math movement' represents the attempts. The advocators of New Math, however, did not succeed sufficiently to understand the inside-outside view which the term the structure of knowledge represents, and failed to make mathematics teachers to understand the view well. Their attention was put on to introduce the modern mathematics to school math rather than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and epistemological perspective which the term the structure of knowledge represents. To teach the structure of knowledge, mathematics teacher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mathematical knowledge more totally from the inside-outside viewpoint. Especially, s/he should not regard the outside aspect of mathematical knowledge written in textbook as the totality of knowledge, but inquire into the inside aspect of mathematical knowledge from the outside aspect of mathematical knowledge.
목차
Ⅰ. 서론
Ⅱ. 지식의 구조와 안과 밖의 사고방식
Ⅲ. 안과 밖의 사고방식으로 본 수학에서의 지식의 구조
Ⅳ. 지식의 구조를 가르치기 위하여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교 기하의 증명 지도에 관한 소고
- 우리 나라 초등학교 수학교육에 적용 가능한 계산기 활용 방안 연구
- 수학 실험실 수업 모형의 개발 연구
- 현행 수준별 수업 분석에 기초한 수준별 교육과정의 성공을 위한 처방
- A Study of Selecting Problems for the Strategies Recognition of Problem Solving in School Mathematics
- 이차함수와 타원의 문제해결 지도를 위한 멀티미디어 학습자료 개발
- 우리 나라 초등학교 수학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 대안적인 평가를 통한 수학교육
- 수학과 열린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 논문투고 외
- 수학과 소집단 협력학습의 방향 탐색
- 조작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에서 구성의 의미와 과정
- 증명의 수리철학적 분석과 지도 방향 탐색
- 학교수학에서의 함수 개념 지도 방법에 관한 고찰
- 前形式的 證明의 意味와 敎授學的 意義에 關한 硏究
- 수준별 교육과정의 적용에 따른 수학과 심화 보충 과정과 특별 보충 과정의 내용 선정 및 교수-학습 자료 구성 방향
- 수격자점을 꼭지점으로 갖는 정육면체의 개수
- 수행평가 과제 제작의 모형 및 준거에 관한 연구
- 知識에 대한 構造主義的 觀點과 수학에서의 ‘知識의 構造’
- 열린 수학 학습을 위한 게임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탐색
- 중등 수학교사의 교수-학습에 대한 태도 조사 분석
- 초등학교 수학교육에 있어서 계산기 활용에 관한 고찰
- 열린 수학 수업 모델 구성을 위한 構造的 接近
- 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에서 열린수업 모형의 적용에 관한 연구
-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학적 의사소통의 지도 효과에 관한 연구
- 數學敎育의 電算化에 對한 理論과 實際
- 미국 스탠다드 수학의 재조명
- 운강 김연식 교수 정년퇴임 기념 특집호 발간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