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학적 의사소통의 지도 효과에 관한 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Effects of communication in learning middle grade school Mathematic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선희 이종희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8권 1호, 145~16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8.07.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each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mathematics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mathematics pen pals, and writing a mathematics diary were used to teach how to communicate mathematically. The experimental group was assigned to cooperate in class, to write a mathematics diary at the end of each class, and to exchange the mathematics pen pals once a week.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by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The result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learning achievement between the two groups was performed with pretests and posttests. And after this study, mathematics pen pals, video protocol and open-ended test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1.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learning achievement test between the group taught through communication and those not. And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achievement test between the two groups-high and low level classes. 2. Cooperative learning, writing a mathematics diary and mathematics pen pals were effective as methods of teaching communication mathematically. The analysis of mathematics pen pals which is to investigate students' writing abilities showed that pen pal partners were improved in QCAI communication level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open-ended test. This means that communication learning has an effect on the tests for mathematical thought, reasoning, and creative thought. The analysis of video protocol showed that four students in a cooperative group were improved in their speaking and listening 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교 기하의 증명 지도에 관한 소고
- 우리 나라 초등학교 수학교육에 적용 가능한 계산기 활용 방안 연구
- 수학 실험실 수업 모형의 개발 연구
- 현행 수준별 수업 분석에 기초한 수준별 교육과정의 성공을 위한 처방
- A Study of Selecting Problems for the Strategies Recognition of Problem Solving in School Mathematics
- 이차함수와 타원의 문제해결 지도를 위한 멀티미디어 학습자료 개발
- 우리 나라 초등학교 수학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 대안적인 평가를 통한 수학교육
- 수학과 열린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 논문투고 외
- 수학과 소집단 협력학습의 방향 탐색
- 조작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에서 구성의 의미와 과정
- 증명의 수리철학적 분석과 지도 방향 탐색
- 학교수학에서의 함수 개념 지도 방법에 관한 고찰
- 前形式的 證明의 意味와 敎授學的 意義에 關한 硏究
- 수준별 교육과정의 적용에 따른 수학과 심화 보충 과정과 특별 보충 과정의 내용 선정 및 교수-학습 자료 구성 방향
- 수격자점을 꼭지점으로 갖는 정육면체의 개수
- 수행평가 과제 제작의 모형 및 준거에 관한 연구
- 知識에 대한 構造主義的 觀點과 수학에서의 ‘知識의 構造’
- 열린 수학 학습을 위한 게임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탐색
- 중등 수학교사의 교수-학습에 대한 태도 조사 분석
- 초등학교 수학교육에 있어서 계산기 활용에 관한 고찰
- 열린 수학 수업 모델 구성을 위한 構造的 接近
- 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에서 열린수업 모형의 적용에 관한 연구
-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학적 의사소통의 지도 효과에 관한 연구
- 數學敎育의 電算化에 對한 理論과 實際
- 미국 스탠다드 수학의 재조명
- 운강 김연식 교수 정년퇴임 기념 특집호 발간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