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추간공 경막외 주사 후 발생한 조영제에 의한 일과성 피질시각상실
이용수 12
- 영문명
- Transient Cortical Blindness Following Cervical Transforaminal Epidural Inject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윤소정 서정현 김병건 윤라경 정은혜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3,number11, 953~957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경추간공 경막외 주사 중 동맥 내 조영제 투여에 의한 일과성 피질시각상실을 보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당뇨, 고혈압을 가진 58세 남자 환자가 목 통증으로 정형외과에서 경추간공 경막외 주사 치료를 받은 직후 양안의 시력저하를 호소하여 안과에 의뢰되었다. 시술을 위해 조영제를 투약하여 주사의 위치를 조정하던 중 좌측 추골동맥이 조영증강된 것이 확인되었고, 직후 환자는 양안 시력저하와 함께 어지럼, 두통을 호소하였다. 12시간 경과 후 최대교정시력은 양안 안전수동이었으며, 전안부와 안저검사, 눈운동검사 및 동공검사에서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형광안저촬영 및 뇌자기공명영상촬영에서 특이 사항은관찰되지 않았으며, 신경계 진찰도 정상이었다. 조영제에 의한 일과성 피질시각상실로 진단하고, Dexamethasone 정맥 주사 및 nimodipine 을 투여하였다. 경막외 주사 2일 후부터 주관적인 시력의 회복을 보였으며, 3일 후 나안시력은 양안 1.0으로 완전히 회복되었다. 결론: 조영제를 이용한 검사 후 양안 시력저하가 발생하였을 때 드물지만 일과성 피질시각상실의 가능성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가역적인 경과를 보이고 예후가 좋은 편이나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o report a case of transient cortical blindness following cervical transforaminal epidural injection. Case summary: A 58-year-old diabetic and hypertensive male was referred to the ophthalmology department with sudden-onset bilateral visual disturbances after cervical transforaminal epidural injection for neck pain. During the procedure, an intravascular contrast medium was injected into the left vertebral artery. Immediately after the injection, the patient complained of bilateral visual disturbances, mild headache, and dizziness. Twelve hours after the procedure, his visual acuity was reduced to hand motion perception in both eyes. Anterior segment and fundus examinations were unremarkable. Pupillary light reflexes and extraocular muscle movements were normal.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and fluorescein angiography showed no significant findings. There were no other neurological abnormalities. The patient was treated conservatively with intravenous dexamethasone and nimodipine based on a provisional diagnosis of transient cortical blindness. The symptoms gradually improved 2 days after the procedure; visual acuity recovered to 20/20 by the third day. Conclusions: Although contrast-induced transient cortical blindness is rare, it should be considered in patients with bilateral visual loss after transforaminal epidural injection. It is a benign and reversible condition but requires a prompt diagnosis.
목차
증례보고
고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한민국의 안과 취약 지역 실태에 대한 연구
- 당뇨와 비당뇨병 환자의 백내장수술 후 눈물 지질층 두께의 변화
- 윗눈꺼풀에서 발생된 피부뿔을 동반한 각질가시세포종
- 콘택트렌즈로 인한 급성충혈증후군
- 진행성 위암으로 인한 중증 빈혈이 동반된 망막분지정맥폐쇄안에서 발생한 신생혈관녹내장 1예
-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시신경교차의 조영증강을 보인 에탐부톨로 인한 독성시신경병증
- 2021년 한국포도막학회 회원 설문 조사
- 녹내장성 시야결손의 점별 모델링
- 최초 발견자 차이와 관련된 간헐외사시 특징
- 경추간공 경막외 주사 후 발생한 조영제에 의한 일과성 피질시각상실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