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최초 발견자 차이와 관련된 간헐외사시 특징
이용수 14
- 영문명
- First-finder-related Clinical Features of Intermittent Exotropi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청운 김승우 유재은 정승아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3,number11, 928~934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수술이 필요한 정도의 간헐외사시를 처음 발견한 사람이 안과의사인 군과 부모를 비롯한 비전문가인 군에서 간헐외사시 특징이다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평균 5.9 ± 1.4세에 20프리즘디옵터(prism diopters, PD) 이상의 간헐외사시로 진단받은 환아 218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간헐외사시 최초 발견자가 안과의사인 군과 비전문가인 군으로 나누어, 프리즘교대가림검사로 측정한 실제사시각과 반투명가리개로 가리고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전문의 2명이 평가한 사진사시각, 간헐외사시 분류, 융합조절, 입체시, 억제, 구면렌즈대응치를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 원거리사시각이 25.8 ± 6.8 PD인 간헐외사시를 41명(18.8%)은 안과의사가, 177명(81.2%)은 비전문가가 처음 발견하였다. 사시안의 구면렌즈대응치가 안과의사군에서 비전문가군에 비해 근시인 것(-0.77 ± 1.59 디옵터[diopters, D] vs. -0.19 ± 1.48 D, p=0.03)을 제외하고는 두 군 간 차이가 없었다. 두 군에서 나이와 사시안의 구면렌즈대응치를 짝지은 39쌍을 비교하면, 안과의사군에서 원거리, 근거리 실제사시각이 비전문가군에 비해 작았지만(24.0 ± 6.8 PD vs. 28.5 ± 6.4 PD, 26.9 ± 6.6 PD vs. 31.0 ± 6.4 PD, p<0.01), 사진사시각을 비롯한 다른 특징은 차이가 없었다. 결론: 수술이 필요한 정도의 간헐외사시라도 사시각이 작거나 근시가 동반된 경우 안과의사가 검진을 통해 처음 발견하는 경우가 많았다.
영문 초록
Purpose: To determine whether the clinical features of intermittent exotropia (IXT) needing muscle surgery were different in the ophthalmologist-detected and non-specialist-detected groups (including parents). Methods: Medical records of 218 children (mean age: 5.9 ± 1.4 years) with IXT of ≥ 20 prism diopters (PD)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angles of deviation were measured using the prism and alternate cover test and assessed by two ophthalmologists using photographs with a translucent occluder (photographic angle). The IXT subtype, fusional control, stereopsis, suppression, and spherical equivalent (SE) were compared between the ophthalmologist-detected and non-specialist-detected groups. Results: Mean 25.8 ± 6.8 PD of distant angle of IXT was first detected by the ophthalmologist in 41 patients (18.8%) and the non-specialists in 177 patients (81.2%). The deviated eye was more myopic in the ophthalmologist-detected than non-specialist- detected group (-0.77 ± 1.59 diopters [D] vs. -0.19 ± 1.48 D, p = 0.03). There were no other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 comparison of 39 age- and non-dominant eye SE-matched pairs demonstrated that the measured angles for distant and near fixation were smaller in the ophthalmologist-detected than non-specialist-detected group (24.0 ± 6.8 PD vs. 28.5 ± 6.4 PD and 26.9 ± 6.6 PD vs. 31.0 ± 6.4 PD, respectively, p < 0.01), while the remaining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photographic angle, were similar. Conclusions: In cases with small angles of deviation or myopia, IXT with angles requiring surgical correction were commonly first detected by ophthalmologists during examinations.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한민국의 안과 취약 지역 실태에 대한 연구
- 당뇨와 비당뇨병 환자의 백내장수술 후 눈물 지질층 두께의 변화
- 윗눈꺼풀에서 발생된 피부뿔을 동반한 각질가시세포종
- 콘택트렌즈로 인한 급성충혈증후군
- 진행성 위암으로 인한 중증 빈혈이 동반된 망막분지정맥폐쇄안에서 발생한 신생혈관녹내장 1예
-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시신경교차의 조영증강을 보인 에탐부톨로 인한 독성시신경병증
- 2021년 한국포도막학회 회원 설문 조사
- 녹내장성 시야결손의 점별 모델링
- 최초 발견자 차이와 관련된 간헐외사시 특징
- 경추간공 경막외 주사 후 발생한 조영제에 의한 일과성 피질시각상실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