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1년 한국포도막학회 회원 설문 조사
이용수 16
- 영문명
- The 2021 Questionnaire Survey of the Korean Uveitis Society: Current Trends of Uveitis Disease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성호 박정현 유나경 공민귀 송수정 함돈일 한국포도막학회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3,number11, 910~917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2021년 한국포도막학회 회원의 포도막염에 대한 진료와 치료 경향에 대한 설문 조사의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국내 포도막염의 실제 진료와 치료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2021년 11월 한국포도막학회에서 회원 300명에게 총 11문항의설문 조사를 시행하였고, 다지 선다형 또는 양자택일형의 문항에 대한 답변의 비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응답률은 59.7% (179명)였고, 응답자 중 망막 세부 전공을 선택한 경우가 92.7%로 가장 많았고, 응답자 중 과반수 이상에서외래 진료 환자 중 포도막염 환자의 비율은 10% 미만이라고 하였다(66.9%). 앞포도막염 환자에서 추가로 시행하는 영상검사로는 안저 사진 촬영 및 빛간섭단층촬영을 시행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83.8% vs. 73.2%). 전신검사가 필요한 경우 시행하는 항목으로는일반혈액검사, 일반화학검사,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C-reactive protein 순이었다. 스테로이드 국소 치료의 경우 테논낭하주사를 가장 선호하였으며(74.9%), 전신 경구 스테로이드 제제 사용 시 대다수 0.5-1 mg/kg으로 시작하였다(83.7%). 스테로이드 불응성 포도막염 환자의 치료 시 2차 약제로는 사이클로스포린의 사용을 선호하였다(36.2%). 결론: 본 설문 조사의 결과를 통해 실제 국내 포도막염 환자들에 대한 진단과 치료 경향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여러 가지 제한점이있으나, 한국포도막학회에서 공식적으로 시행한 첫 포도막염 실제 진단과 치료 행태 조사라는 연구 의의가 있겠다.
영문 초록
Purpose: To report the results of a 2021 questionnaire survey assessing the current trends and practice patterns in the treatment of uveitis, conducted by the Korean Uveitis Society (KUS). Methods: To understand the current treatment and trends for uveitis in Korea, a total of 11 questions were surveyed in November 2021 among 300 members of the KUS. This survey comprised 11 multiple choice and dichotomy questions. Results: Of 300 participants, 179 responded, and the response rate was 59.7%. Among the respondents, 92.7% were retina specialists and 66.9% reported less than 10% of uveitis patients among outpatients. As imaging tests performed in patients with anterior uveitis, fundus photography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were typically performed (83.8% vs. 73.2%, respectively). The frequently performed blood tests for general screening were complete blood count, blood chemistry test,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nd C-reactive protein (89.9% vs. 86.2% vs. 85.5% vs. 82.4%, respectively). Regarding local steroid treatment, subtenon injection was the most preferred (74.9%). Regarding systemic oral corticosteroids, 83.7% of respondents commonly used initial doses of 0.5-1 mg/kg. Cyclosporine, methotrexate, mycophenolate mofetil, and azathioprine were used for steroid-refractory uveitis patients in that order (36.2% vs. 34.8% vs. 21.7% vs. 7.3%, respectively). Concerning the currently used biologic agent, adalimumab was the most preferred, at 96.7%. Conclusions: This survey highlights the recent trends and practice patterns in the treatment of uveitis in Korea.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한민국의 안과 취약 지역 실태에 대한 연구
- 당뇨와 비당뇨병 환자의 백내장수술 후 눈물 지질층 두께의 변화
- 윗눈꺼풀에서 발생된 피부뿔을 동반한 각질가시세포종
- 콘택트렌즈로 인한 급성충혈증후군
- 진행성 위암으로 인한 중증 빈혈이 동반된 망막분지정맥폐쇄안에서 발생한 신생혈관녹내장 1예
-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시신경교차의 조영증강을 보인 에탐부톨로 인한 독성시신경병증
- 2021년 한국포도막학회 회원 설문 조사
- 녹내장성 시야결손의 점별 모델링
- 최초 발견자 차이와 관련된 간헐외사시 특징
- 경추간공 경막외 주사 후 발생한 조영제에 의한 일과성 피질시각상실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