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당뇨와 비당뇨병 환자의 백내장수술 후 눈물 지질층 두께의 변화
이용수 11
- 영문명
- Changes in Tear Lipid Layer Thickness after Cataract Surgery in Diabetic and Non-diabetic Patient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안지선 문자윤 최진석 김응권 정성근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3,number11, 903~90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당뇨와 비당뇨병 환자에서 백내장수술 전후의 눈물 지질층 두께와 건성안 지표들을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백내장수술을 시행받은 환자를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비당뇨 백내장 환자(I군) 36명의 65안과 당뇨가 있는 백내장 환자(2군) 23명의 35안을 대상으로 연구했다. 눈물 지질층 두께, 부분 눈꺼풀 깜박임 비율, 눈물막파괴시간, strip meniscometry검사를수술 전과 수술 후 1개월, 2개월째에 측정되었고 안구표면질환지수 설문지는 수술 전과 2개월 후에 실시하여 두 군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I군에서 strip meniscometry 검사는 수술 전 3.2 ± 1.4 mm, 1개월 2.3 ± 1.0 mm, 2개월 2.5 ± 1.0 mm로 수술 전보다 유의하게감소하였다(p<0.05). 눈물막파괴시간검사는 수술 전 3.4 ± 1.6초, 1개월 3.0 ± 1.5초, 2개월 2.9 ± 1.5초로 수술 전보다 유의하게감소하였다(p<0.05). 안구표면질환지수 점수는 수술 전 30.8 ± 21.3점, 2개월 20.0 ± 15.8점으로 수술 전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II군에서는 눈물막파괴시간검사는 수술 전 3.6 ± 1.3초, 1개월 3.0 ± 1.0초, 2개월 3.1 ± 1.0초로 수술 전보다 유의하게감소하였다(p<0.05). 안구표면질환지수 점수는 수술 전 30.0 ± 20.6점, 2개월 19.0 ± 16.0점으로 수술 전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두 군 모두 수술 전, 후 눈물 지질층 두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백내장수술 전, 후 각 군에서는 건성안 지표의 차이가 있었지만 두 군 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ear film lipid layer thickness (LLT) and dry eye parameters between non-diabetic and diabetic patients after cataract surgery.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patients who underwent cataract surgery. We enrolled 65 eyes of 36 patients with cataracts but not diabetes (group I) and 35 eyes of 23 patients with both cataracts and diabetes (group II). The LLT, partial blink rate, tear break-up time (TBUT), and strip meniscometry tests were performed preoperatively and 1 and 2 months after surgery. The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efore and 2 months after surgery by both groups. Results: In group I, the strip meniscometry test value was 3.2 ± 1.4 mm before surgery, 2.3 ± 1.0 mm at 1 month, and 2.5 ± 1.0 mm at 2 months, thus significantly less than before surgery (p < 0.05). The TBUT result was 3.4 ± 1.6 seconds before surgery, 3.0 ± 1.5 seconds at 1 month, and 2.9 ± 1.5 seconds at 2 months, thus significantly less than before surgery (p < 0.05). The OSDI score was 30.8 ± 21.3 before surgery and 20.0 ± 15.8 at 2 months, thus significantly lower than before surgery (p < 0.05). In group II, the TBUT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the preoperative value of 3.6 ± 1.3 seconds to 3.0 ± 1.0 seconds at 1 month and 3.1 ± 1.0 seconds at 2 months (p < 0.05). The OSDI score was 30.0 ± 20.6 before surgery and 19.0 ± 16.0 at 2 months, thus significantly lower than before surgery (p < 0.05). Neither group evidenced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LT before and after surgery. Conclusions: There was a difference in dry eye parameters in each group before and after cataract surgery,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한민국의 안과 취약 지역 실태에 대한 연구
- 당뇨와 비당뇨병 환자의 백내장수술 후 눈물 지질층 두께의 변화
- 윗눈꺼풀에서 발생된 피부뿔을 동반한 각질가시세포종
- 콘택트렌즈로 인한 급성충혈증후군
- 진행성 위암으로 인한 중증 빈혈이 동반된 망막분지정맥폐쇄안에서 발생한 신생혈관녹내장 1예
-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시신경교차의 조영증강을 보인 에탐부톨로 인한 독성시신경병증
- 2021년 한국포도막학회 회원 설문 조사
- 녹내장성 시야결손의 점별 모델링
- 최초 발견자 차이와 관련된 간헐외사시 특징
- 경추간공 경막외 주사 후 발생한 조영제에 의한 일과성 피질시각상실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