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메타분석
이용수 219
- 영문명
- A Meta-Analysis on Academic Achievement of the College Students Admitted by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of High School Life Records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소정(Kim Sojung) 이윤선(Lee Yoonsun)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3권 제3호, 201~2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통해 학생부종합전형과 정시 일반전형 요소가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친 평균 효과크기를 분석·비교하여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일반적인 결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를 위해 관련 연구물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메타분석에 포함된 개별 연구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Risk of Bias 포맷을 활용하였으며, funnel plot과 Egger의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물들의 비대칭성을 확인하였다. 표준화된 평균차에 대한 효과크기, 통합추정치, 통계적 이질성, 신뢰구간 등을 추정하였으며,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의미있는 변인들의 조절효과를 산출하기 위해 메타 ANOVA를 실시하였다.
주제, 변인의 성향, 통계치 특성, 연구대상, 측정도구, 중복 방지 등의 연구물 선정기준을 적용하여 12편(k=36)의 문헌이 메타분석에 포함되었으며, 메타분석에 사용된 연구물들의 출판편향은 존재하지 않았다. 무선효과모형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생부종합전형에 비해 수능전형과 학생부교과전형에서 작은 효과크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 결과, 입학년도 및 학년 수준이 연구 간 분산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부 종합전향제도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안정화되면서 학생들의 학업성취 차이가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에 관련된 국내 연구물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앞으로는 대학 생활적응과 관련된 다양한 결과변수를 활용하여 분석을 시행하고,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들을 조절변인으로 투입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the meta-analysis on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of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of High school life records. We use the risk of bias format to evaluate the quality of each study included for this meta-analysis. Asymmetry of the studies is confirmed by Funnel plot and Egger’s regression analysis.
The effect sizes of 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integrated estimates, statistical heterogeneity, confidential intervals are estimated, and the meta ANOVA was implemented for the additional explanation of the effect sizes calculated. The results shows that 12 studies (k=36) wer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and that the publication biases did not exist.
The results of meta analysis by randomized effects revealed that there showed a little effect for CSAT and Admissions of High School Records, but not for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of High School Records. On the other hand,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shows that the year of college entrance and the level of grade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explain the distributions between studies, which confirms that as time passes and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becomes stable, the differences of academic achievement decrease.
While this study focuses on the domestic studies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meta-analysis, we suggest that for the future study various dependent variables related to students’ college life adjustment should be included for the analysis and that the variables affecting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hould be included as moderator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언어 인공지능의 상식추론과 평가 체계 현황
- ‘刚’과 ‘刚才’의 시간적, 어법적 의미특징 분석
- 『마광운경(磨光韻鏡)』 해(蟹)섭운 자음 규정의 문제점
- 부산항의 장소성과 그 재현
- 말하는 예술의 침묵
- 한국어교육에서 인과관계 의존성 명사 결합형 연구
- 코퍼스 기반 COVID-19 팬데믹을 전후한 크루즈 고객리뷰 키워드 분석
- 多重视角下彩礼的解读
-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메타분석
-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및 사회적 능력
- 유아교육정책과 영유아보육정책의 연구 동향
- 소년범의 인생 목적과 비행(delinquency)의 관계에서 목표불안정성과 자기조절의 이중매개효과
-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혁신의 성과와 함정
- 인문사회과학연구 제23권 제3호 목차
- 마산 수출자유지역의 선정과정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