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刚’과 ‘刚才’의 시간적, 어법적 의미특징 분석
이용수 74
- 영문명
- Temporal and grmmaticai semantic characteristics of “刚” and “刚才”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채예령(Chae Yeryeong)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3권 제3호, 113~13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간을 나타내는 품사 ‘刚’과 ‘刚才’의 시간적, 어법적 의미특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중국어 작문 시 나타나는 혼용(混用)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먼저 ‘刚’과 ‘刚才’의 시간적 의미특징의 차이점을 파악하기 위해 참조점과 시간량을 분석하여 둘의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시간부사 ‘刚’은 발화 시점이 반드시 참조점이 되는 것은 아니며, 시간 축 상의 위치도 고정할 수 없었다. 하지만 ‘과거, 미래, 발화 시점’ 등을 참조점으로 삼을 수 있는 상대적 과거 시를 모두 가질 수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고, 동작이나 상황이 발생하기 전의 시간을 추상적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시간명사 ‘刚才’는 시간 축 상의 발화 시점을 참조점으로 하며 , 비교적 정적이다. 또한 화자가 주관적으로 시간을 판단할 수 없는 절대적 과거 시를 나타내고 있었다.
다음은 서로 다른 어법 범주에 속하는 두 어휘의 어법적 특징을 분석하여 의미초점의 차이점과 참조점에서의 사건 지속 여부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두 어휘가 문장 속에서 담당하는 역할이 구분되기 때문에 의미초점도 달랐다. 시간부사 ‘刚’의 경우 시간에 대한 초점을 강조하는 반면, 시간명사 ‘刚才’는 시간적 배경 안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참조점에서의 사건 지속 여부를 분석한 결과에서 시간부사 ‘刚’은 앞 절의 사건이 후속 절로 지속되지 않았을 때 구문 성립이 어렵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반대로 시간명사 ‘刚才’는 앞 절의 사건이 지속되지 않을 때 구문 성립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분량의 문제로 미처 다루지 못한 내용이 존재한다. 바로 시간을 나타내는 품사 ‘刚’과 ‘刚才’의 통사적, 사건적 특징에 대한 분석이다. 따라서 이 부분의 연구는 후속 과제로 추후에 지속하여 완성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emporal and grammatical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wo words ‘刚’ and ‘刚才’ in various aspects to tackle the frequent confusion between the two.
The reference point and the amount of time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刚’ and ‘刚才’ to elucid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temporal semantic features. In ‘刚才,’ the reference point on the time axis is fixed, and the speaker expresses absolute past poetry where time cannot be subjectively judged. For ‘刚,’ the point of utterance was not necessarily a reference point. Furthermore, in case of ‘刚,’ the position on the time axis was not fixed, and it could have all of the relative past poems that could use ‘past, future, and utterance points’ as reference points and abstract the time before an action or situation occurs.
The difference in semantic focus and continuation of events at the reference point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two words belonging to different grammar categories. Moreover, as the two words play different roles in a sentence, the meaning focus also differs. The temporal adverb ‘刚’ emphasizes on time, while the temporal noun ‘刚才’ highlights the events occurring within the temporal context. Considering the temporal adverb ‘刚,’ it was difficult to establish the syntax when the event of the previous clause did not continue into the subsequent clause due to analyzing the continuation of events at the reference point. Conversely, it was confirmed that the temporal noun ‘刚才’ was formed when the event of the preceding clause did not continue.
목차
Ⅰ. 서론
Ⅱ. ‘刚’과 ‘刚才’의 시간 범주
Ⅲ. ‘刚’과 ‘刚才’의 시간적 의미특징
Ⅳ. ‘刚’과 ‘刚才’의 어법적 의미특징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언어 인공지능의 상식추론과 평가 체계 현황
- ‘刚’과 ‘刚才’의 시간적, 어법적 의미특징 분석
- 『마광운경(磨光韻鏡)』 해(蟹)섭운 자음 규정의 문제점
- 부산항의 장소성과 그 재현
- 말하는 예술의 침묵
- 한국어교육에서 인과관계 의존성 명사 결합형 연구
- 코퍼스 기반 COVID-19 팬데믹을 전후한 크루즈 고객리뷰 키워드 분석
- 多重视角下彩礼的解读
-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메타분석
-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및 사회적 능력
- 유아교육정책과 영유아보육정책의 연구 동향
- 소년범의 인생 목적과 비행(delinquency)의 관계에서 목표불안정성과 자기조절의 이중매개효과
-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혁신의 성과와 함정
- 인문사회과학연구 제23권 제3호 목차
- 마산 수출자유지역의 선정과정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