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스트코로나 시대 플립러닝 기반의 대학영어교육 딜레마와 도전 탐색
이용수 106
- 영문명
- A study on the dilemmas and challenges of flipped-learning-based college English education in the post COVID-19 era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하명애(Ha, Myeong-Ae)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영어교과교육 21권 3호, 231~25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dilemmas and challenges in college English education based on flipped learning in the post-COVID-19 era. For the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subjects were 10 learners and six professors who undertook flipped-learning-based online classes after the onset of COVID-19, and four professors who had experience with flipped-learning classes before the pandemic. Studies have shown that the dilemma facing learners and professors was that both pre-&-in-class lessons were conducted online, causing confusion in the original flipped-learning design. Learners felt unfamiliar with and burdened by flipped-learning and did not have the opportunity to directly ask questions about what they had not understood in the pre-class. On the other hand, in flipped-learning contexts, learners tried to actively communicate with their professors and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From the professors' perspective, there were limitations in achieving a sense of reality in the flipped-learning class and they had concerns about the learners' academic ability gap. Nevertheless, professors have 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effective flipped-learning classes through various online platforms. Through this study, follow-up research is needed concerning teaching models and methods for flipped-learning-based English classes in the post-COVID-19 er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모바일기반 언어학습 효과에 대한 국내연구 메타분석
- 포스트코로나 시대 플립러닝 기반의 대학영어교육 딜레마와 도전 탐색
- Aeronautics Students’ TOEIC Learning through an AI-centered English Course
- The Positive Feedback Loop of Korean English Teachers’ Knowledge and Resilience Systems
- 영어교육에서 AI 활용의 한계는 어디쯤일까?
- The Impact of Emergency Remote Teaching on EFL Instruction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과 핀란드의 대학입학시험읽기 지문 난이도 비교 연구
- Promoting Preservice Teachers’ Flourishing and Teacher Resilience through Online Mentoring Experiences
- The Impact of Study-abroad Experience on Korean University Students’ English Writing Strategies
- AI기술을 활용한 초등영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