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U의 탄소배출권거래 제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6
- 영문명
- A Study on the EU Emissions Trading Schemes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박명섭(PAK, MYONG SOP) 홍란주(Ran-Ju Hong) 허윤석(Yun-Seok Hur)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2권 제2호, 297~32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온실가스의 배출이 늘어남에 따라 세계 기후도 변화하고 있다. 특히 이산화탄소는 배출량이 가장 높은 인위적인 온실가스로 1970년에서 2004년 사이 전체 온실가스 방출량의 80%를 차지할 정도였다. 유엔기후변화협약의 부속의정서인 교토의정서의 제안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 세계 2위인 EU는 자체적으로 배출권 거래제도를 실시하며 탄소 배출량 감축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 배출권 거래제도 시행의 모범이 되고 있는 EU의 배출권 거래제도와 배출권 거래시장을 중심으로 EU의 배출량 감축 정책 및 현재까지의 감축 결과를 살펴보았다. 2단계에 걸쳐 진행되는 EU의 배출권 거래제도는 현재 1단계를 거쳐 2008년부터 2단계가 발효되고 있다. 현재까지 EU의 배출권 거래 제도는 성공적이라 할 수 있을 만큼 탄소 배출량이 감소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EU의 성공적인 정책의 고찰을 통해 배출량 감소 이행국에서 제외된 국가들의 향후 감축의무 부과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As greenhouse gas (hereinafter GHGs) emissions have been increasing, the world's climate is also rapidly changed. CO2 is the most important artificial GHGs and the annual emissions amount was increased approximately 80% between 1970 and 2004. After suggesting Kyoto Protocol, EU is the second largest emissions embodiment in the world, set the emissions trading scheme (hereinafter EU-ETS) and is trying to reduce CO2 emissions aggressively. This study focuses on the EU-ETS and EU-ETS market to examine their emissions reduction policy and review the result of their efforts. EU-ETS which is composed of 2-step phases had already completed the first phase and is running on the second phase in 2008. Up to now EU-ETS has been proceeding successfully and the amount of CO2 emissions has been decreased. To prepare for their coming events, countries excluded from Kyoto Protocol fulfillment need to have some implication from EU and have to make up their own plans.
목차
Ⅰ. 서론
Ⅱ. 기후변화협약과 교토의정서
Ⅲ. EU의 탄소배출 현황과 정책
Ⅳ. EU의 탄소배출권 거래제도
Ⅴ. 시사점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n analysis of nontraditional activities at banks: a cross-country analysis
- 기술선도국과의 상대적 생산성 수준과 한국 제조업 생산성간의 관계
- 한국 국가이미지가 독일시장 내 구매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 EU의 탄소배출권거래 제도에 관한 연구
- 한ㆍ중소비자의 글로벌 브랜드선호도와 구매의도에 관한 비교연구
- 일본의 인구학적 요인과 경제성장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
- 황혼선거와 집권당의 선거이득
- 중국소비자들의 모바일 인터넷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Long Memory Properties in the Volatility of Australian Financial Markets:A VaR Approach
- 인도경제의 서비스화 요인 실증분석
- 엔터테인먼트상품의 성공으로 인한 한류열풍이 한국제품의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미국 High-Tech 기업의 연구개발 지출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 해상보험에 있어서 협정보험가액의 과대평가에 관한 연구
- 중국의 부패상과 정부의 대응에 관한 연구
- 중국 은행효율성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