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의 인구학적 요인과 경제성장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Relations between Demographic Factors and Economic Growth in Japan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김호범(KIM,HO-BEOM) 곽소희(sohui kwak)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2권 제2호, 125~14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일본은 동아시아 국가들 중 가장 먼저 인구 전환 과정을 마무리 지었으며, 소자고령화사회(小子高齡化社會)로 진입한 국가이다. 일본 인구문제 연구소에서 발표하는 인구통계자료집(2008)에 의하면, 일본의 인구증가율은 2000년에 0.21, 2005년 0.13, 2006년에 0.0으로, 인구감소 사회에 진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급격한 인구학적 변화에 따라 경제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은 동아시아에서 가장 먼저 인구 전환 과정을 거친 일본에서의 인구전환 과정을 장기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이를 실증분석을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메이지 유신의 성공으로 가장 먼저 산업화를 달성한 일본의 인구전환은 동아시아 국가들 중에서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실증분석에서는 1952년에서 2005년 시계열 데이터를 사용한 분석 결과, 인구학적 요인과 경제성장간에 정(+)의 관계가 도출되었다. 그러므로 현재 일본의 상황을 고려할 때, 인구 감소는 노동력 감소에 의해 경제성장의 저해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일본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공통적인 문제이며, 이에 대한 다양한 정책이 요구되는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Japan is now facing an aging society with fewer childre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nge in Japan, its economic effect on the economic growth has gained public attent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effect of the demographic change on economic growth in Japan, too. The first part illustrates the process of demographic transition in Japan. Thanks to successful Meiji Revitalizing Reform, Japan had experienced demographic transition earlier than the other East Asia countries.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describes relations between demographic factors and economic growth theoretically. In addition, it analyzes demographic effects on economic growth empirically using time series data of Japan from 1952 to 2005. It is the main finding of analyses that there are positive relations between demographic factor, including employment population rate, population rate and TFR, and economic growth. Therefore, in the near future, a decreasing labor force will cause economic stagnation in Japan. To overcome this problems, it is required to make various policies.
목차
Ⅰ. 서론
Ⅱ. 일본의 인구전환 과정
Ⅲ. 이론적 배경 및 실증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n analysis of nontraditional activities at banks: a cross-country analysis
- 기술선도국과의 상대적 생산성 수준과 한국 제조업 생산성간의 관계
- 한국 국가이미지가 독일시장 내 구매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 EU의 탄소배출권거래 제도에 관한 연구
- 한ㆍ중소비자의 글로벌 브랜드선호도와 구매의도에 관한 비교연구
- 일본의 인구학적 요인과 경제성장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
- 황혼선거와 집권당의 선거이득
- 중국소비자들의 모바일 인터넷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Long Memory Properties in the Volatility of Australian Financial Markets:A VaR Approach
- 인도경제의 서비스화 요인 실증분석
- 엔터테인먼트상품의 성공으로 인한 한류열풍이 한국제품의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미국 High-Tech 기업의 연구개발 지출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 해상보험에 있어서 협정보험가액의 과대평가에 관한 연구
- 중국의 부패상과 정부의 대응에 관한 연구
- 중국 은행효율성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