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ㆍ중소비자의 글로벌 브랜드선호도와 구매의도에 관한 비교연구

이용수  0

영문명
Comparison on Global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s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진남(Chen, Nan) 김창경(Changgyeong Kim)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12권 제2호, 227~25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중 대학생소비자의 글로벌브랜드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의도를 실증분석을 통해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글로벌브랜드의 선호도, 글로벌브랜드의 구매의도, 브랜드원산지이미지, 지각된 품질, 자민족중심주의성향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정하였다. 설문조사는 한국 부산과 중국 상해에서 재학 중인 대학생(50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SPSS ver.15.0과 AMOS ver.7.0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설문지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한국(부산)의 경우, 브랜드원산지이미지와 지각된 품질이 글로벌브랜드의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민족중심주의성향이 글로벌브랜드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글로벌브랜드의 선호도와 구매의도 간에도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상해)의 경우, 브랜드원산지이미지와 지각된 품질이 글로벌브랜드의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민족중심주의성향이 글로벌브랜드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글로벌브랜드의 선호도와 구매의도 간에는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Korean consumers' global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sion with Chinese consumer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we created structural correlation between consumer ethnocentrism, perceived quality, brand of origin image global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sion. The survey polled 500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Korea and Shanghai, China. SPSS ver.15.0과 AMOS ver.7.0 statistical package were used to analysis the questionnaire data. In order to examine the structural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we opera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in Korean case, perceived quality and brand of origin image had positive effect on global brand preference, but consumer ethnocentrism had no effect on global brand preference. And global brand preference had no effect on purchase intension, either. in Chinese case, perceived quality, brand of origin image had positive effect on global brand preference, but consumer ethnocentrism had no effect on global brand preference. while global brand preference had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sion.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고찰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진남(Chen, Nan),김창경(Changgyeong Kim) . (2008).한ㆍ중소비자의 글로벌 브랜드선호도와 구매의도에 관한 비교연구. 국제지역연구, 12 (2), 227-250

MLA

진남(Chen, Nan),김창경(Changgyeong Kim) . "한ㆍ중소비자의 글로벌 브랜드선호도와 구매의도에 관한 비교연구." 국제지역연구, 12.2(2008): 227-2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