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제회계기준 도입에 따른 연결재무제표와 별도재무제표의 가치관련성 비교 연구

이용수  10

영문명
Comparison Analysis of Value Relevance between Consolidated and Separate Financial Statement in accordance with the Adoption of IFRS
발행기관
한국세무학회
저자명
권혁진(Hyuk-Jin Kwon) 김새로나(Sae-Ro-Na Kim) 양동훈(Dong-Hoon Yang) 조광희(Kwanghee Cho)
간행물 정보
『세무와회계저널』제15권 제5호, 195~21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회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0.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1년부터 국제회계기준(이하 K-IFRS)을 적용하여 작성된 상장기업의 연결재무제표와 별도재무제표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연결재무제표를 주재무제표로 하는K-IFRS 및 공시체계 도입의 당위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별도재무제표 상 BPS와 EPS는 유의한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K-IFRS하에서 연결재무제표가 주재무제표라 할지라도 별도재무제표상의 회계정보도 기업가치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연결재무제표상의 순이익 정보가 별도재무재표상의 순이익 정보 보다가치관련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결재무제표를 공시하는 기업 중, 분/반기 재무제표와 기말 재무제표를 모두 연결 기준으로 공시하는 기업의 BPS 정보는 기말 재무제표만 연결기준으로 공시하는 기업의 BPS 정보보다 가치관련성이 더 높았다. 마지막으로, 연결재무제표상의 회계정보와 별도재무제표상의 회계정보의 차이가 큰 기업의 경우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BPS와EPS가 기업가치와 양(+)의 관계를 보였으나 유의적인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주재무제표의 전환 시점에 재무제표의 특성 차이를 시장에서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로 투자자를 포함한 회계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e the appropriateness of adopting K-IFRS and its disclosureframework, which uses th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as its primary financial statements, byobserving how the consolidated and separate financial statements of listed entities, prepared underK-IFRS since 2011, have affected the corporate valu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BPS and EPS on the separate financial statement showed meaningful positive(+)correlation value. This confirms the fact that even when th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isthe primary statements. the accounting information on the separate financial statements are alsorelated to the corporate value. Secondly, the net income information on consolidated financialstatement appeared more value relevant than that on separate financial statement. Thirdly, the BPSinformation of entities which prepares its year-end financial statements as well as its interimfinancial statements(quarterly and semi annually) under the consolidated basis appeared to be morevalue relevant than that of entities which prepares only the year-end financial statement under theconsolidated basis. Finally, the BPS and EPS of the entities that shows big difference between theaccounting information of consolidated and separate financial statements showed positive(+)correlation with the corporate value, but the correlation appeared un-meaningful in comparisonwith the entities that shows little difference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research, which observed how the different attributes of financialstatements reacted on the market at conversion of primary financial statements, would helpdecision makings of accounting information users including the investo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가설 및 연구설계
Ⅳ. 실증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혁진(Hyuk-Jin Kwon),김새로나(Sae-Ro-Na Kim),양동훈(Dong-Hoon Yang),조광희(Kwanghee Cho). (2014).국제회계기준 도입에 따른 연결재무제표와 별도재무제표의 가치관련성 비교 연구. 세무와회계저널, 15 (5), 195-218

MLA

권혁진(Hyuk-Jin Kwon),김새로나(Sae-Ro-Na Kim),양동훈(Dong-Hoon Yang),조광희(Kwanghee Cho). "국제회계기준 도입에 따른 연결재무제표와 별도재무제표의 가치관련성 비교 연구." 세무와회계저널, 15.5(2014): 195-2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