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발적 이익예측공시가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

영문명
The Effect of the Voluntary Earnings Forecasts Disclosure on the Earnings Management
발행기관
한국세무학회
저자명
한진수(Jinsoo Han) 황규영(Gyuyoung Hwang)
간행물 정보
『세무와회계저널』제15권 제5호, 263~29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회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0.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경영자가 자발적 이익예측공시(공정공시제도를 통한 공시)를 한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 간에 이익조정 행태에 차이가 있는 지를 분석함으로써 공정공시제도가 이익조정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지 여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유가증권시장에 주권을 상장한 기업이며 분석대상기간은 공정공시제도가 시행된 2002년부터 2011년까지 10년간으로 하였다. 분석대상기간 10년 동안 한번이라도 이익예측공시를 한 기업(공시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비공시기업)을 구분하고 이들 그룹 간에 이익조정 행태에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이익조정 행태는 실물활동이익조정과 재량적 발생액을 통한 이익조정으로 나누어서 측정하였다. 나아가 공시기업만을 대상으로 하여 공시연도 여부와 공시빈도가 실물활동이익조정과 재량적 발생액을 통한이익조정에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시기업은 비공시기업에 비하여 실물활동이익조정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재량적 발생액을 통한 이익조정은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공시기업만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분석을 행한 결과 공시연도이거나 공시빈도가 높을수록 실물활동이익조정이 유의하게낮게 나타났으며 재량적 발생액을 통한 이익조정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실물활동이익조정은 기업의 장기적인 경영성과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이를 감안하여 보면 자발적인 이익예측공시를 많이 하는 기업일수록 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실물활동이익조정은 억제하는 경향이 있어서 공정공시제도가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주고 있다고 판단된다. 자발적인 이익예측공시를 하는 기업들은 이익조정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기업에 부정적인 영향이 적은 조정수단인 발생액을 통한 이익조정을 이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if the‘fair disclosure system’affects positively on the earningsmanagement by analyzing difference of earnings management pattern between the forecastsdisclosure firms and the non-forecasts disclosure firms. The sample consists of firms listed onKorean Stock Exchange from 2002 to 2011. And the fair disclosure system was taken effect inthis period. We divided the sample into forecast disclosure firms(issuing annual earnings forecast disclosureat least once for 10 years) and non-forecasts disclosure firms. And we also tested if there is anydifference between forecasts disclosure firms and non-forecasts disclosure firms in the level ofearnings management. Earnings management was measured by Real Activity EarningsManagement(RM) and Accruals based Earnings Management(AM). Furthermore, this paperinvestigates the effect of forecasts disclosure year and forecasts disclosure frequency on theearnings management pattern(RM and AM).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forecasts disclosure firms exhibit lower RM than the nonforecastsdisclosure firms significantly. But there is no difference in AM level between the twogroups. And the results show that RM is relatively low and AM is high in both case of forecasts-disclosure-year and high-disclosure-frequency firm.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RM affects negatively on the long-term value of firms. Consideringthis point of view about RM, it seems that our results support the fair disclosure system. Becausethe fair disclosure system induces firms disclose information voluntarily and minimize RM whichis negative device about earnings management. And that system induces forecasts disclosure firmsprefer to use AM(less negative device about earnings management) when they want to manageearning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의 검토와 연구가설의 설정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진수(Jinsoo Han),황규영(Gyuyoung Hwang). (2014).자발적 이익예측공시가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세무와회계저널, 15 (5), 263-291

MLA

한진수(Jinsoo Han),황규영(Gyuyoung Hwang). "자발적 이익예측공시가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세무와회계저널, 15.5(2014): 263-2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